LG화학, 캐나다 미용필러 시장 진출…국내업계 최초

입력 2024-12-12 09:51 수정 2024-12-12 15: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주지역 전략적 요충지 캐나다서 히알루론산필러 ‘이브아르’ 판매 본격화

▲LG화학이 캐나다 토론토에서 히알루론산 필러 ‘이브아르’ 론칭 행사를 개최했다.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이 캐나다 토론토에서 히알루론산 필러 ‘이브아르’ 론칭 행사를 개최했다.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이 국내 미용필러 업계 최초로 캐나다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LG화학은 캐나다 토론토에서 현지 미용성형 전문가 및 관계자 500여 명을 대상으로 히알루론산 필러 ‘이브아르(클래식 플러스, 볼륨 플러스)’의 론칭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한국 의료미용 제품 및 기술에 대한 북미 시장의 높은 관심도에 발맞춰 국산 필러 중 처음으로 캐나다에 출시한 것으로 LG화학은 이브아르가 대표적인 글로벌 필러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육성할 방침이다.

LG화학은 캐나다와 다인종 지역이라는 공통점이 있는 유럽 주요 국가에서의 임상시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올해 1월 캐나다 의료기기 판매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

LG화학은 북미, 중남미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 중 하나인 캐나다 진출을 위해 다년간 사업을 준비해왔다. 현재 LG화학은 캐나다를 비롯해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등 미주지역 7개국에 이브아르를 수출하고 있으며 캐나다 시장에서의 성공적 사업화를 통해 미주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히알루론산 필러 ‘이브아르’  (사진제공=LG화학)
▲히알루론산 필러 ‘이브아르’ (사진제공=LG화학)

미국 시장조사 업체 그랜드뷰리서치 발표에 따르면 캐나다 미용필러 시장은 2023년 4000억 원에서 2030년 7000억 원 규모로 지속 성장이 전망된다. LG화학은 회사의 프리미엄 라인 필러 브랜드인 ‘와이솔루션’을 추가 출시하는 등 적극적인 시장 침투를 통해 두 자릿수 이상의 점유율을 목표로 하고 있다.

노지혜 LG화학 에스테틱사업부장은 “전 세계 30여 개국 고객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이브아르의 지속적인 글로벌 확장을 위해 유럽, 중국 임상개발 등 선제적 투자를 진행해왔다”며 “이브아르의 글로벌 브랜드 위상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국내를 비롯한 전 세계 고객에게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HBM 소부장 국가전략기술로…R&D 세제지원 확대[세법 시행령]
  • 예능도 모자이크 한 '그곳'…생중계된 한남동 관저, 괜찮을까요? [이슈크래커]
  • 윤석열 구금 장소는 서울구치소…거쳐 간 유명인 면면은 [해시태그]
  • "진짜 천재 맞네"…얼굴 천재 차은우가 사는 '빌폴라리스'는 [왁자집껄]
  • ‘실업급여’, 제대로 받기 위해 알아둬야 할 것은? [경제한줌]
  • “내려야 하는데” 치열했던 동결 결정…환율·정치·美연준 ‘불확실성’에 막혔다 [종합]
  • "혁신의 K-DNA로 승부해라" [트럼프 2기, K제조업 다시 뛴다]
  • BYD 이어 지커·샤오미·샤오펑…중국 車 몰려온다 [레드테크 전기차 공습]
  • 오늘의 상승종목

  • 01.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512,000
    • -0.5%
    • 이더리움
    • 4,876,000
    • +0.18%
    • 비트코인 캐시
    • 669,000
    • +1.67%
    • 리플
    • 4,779
    • +13.62%
    • 솔라나
    • 306,200
    • +6.99%
    • 에이다
    • 1,584
    • +2.66%
    • 이오스
    • 1,278
    • +3.99%
    • 트론
    • 348
    • +2.96%
    • 스텔라루멘
    • 725
    • +3.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300
    • -0.12%
    • 체인링크
    • 33,420
    • +6.53%
    • 샌드박스
    • 903
    • +3.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