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고립위험 4만5000여 가구에 ‘스마트돌봄’ 제공

입력 2024-12-04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AI, IoT 활용한 ‘스마트돌봄서비스’ 4만4923가구에 제공

▲스마트돌봄서비스 사례집 표지 이미지. (사진제공=서울시)
▲스마트돌봄서비스 사례집 표지 이미지.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복지재단이 재단 내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가 제공하는 스마트돌봄서비스를 올해 9월까지 4만4923가구가 이용했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2만4932가구 대비 약 80% 늘어난 규모다.

‘스마트돌봄서비스’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해 고립위험가구의 안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복지 수요 파악, 신속한 위기 상황 대응, 고독사 예방 등을 지원하는 복지서비스다.

스마트돌봄서비스는 현재 △스마트플러그(21개 자치구 총 4035가구) △인공지능(AI)안부확인(21개 자치구 총 1만7847가구) △AI안부든든(5개 자치구 총 1382가구) △똑똑안부확인(8개 자치구 총 1만8494가구) △1인가구 안부살핌(7개 자치구 총 1120가구) △AI스피커(7개 자치구 총 2045가구) 등 총 6종의 사업으로 진행 중이다.

센터는 스마트돌봄서비스 대상자의 위기 신호 발생에 따른 대응과 대처방안, 이후 진행 방법을 공유하고자 자치구, 동주민센터, 관계기관의 사례를 공모해 우수사례집을 발간했다.

사례집에는 전력량 변화·AI 대화 기록 분석 등 위기 신호 확인부터 대상 가구의 특성과 성향에 따른 공공·민간 서비스 연계 현황이 유형별로 수록됐다. 또 스마트돌봄서비스 모니터링 중 위기 신호 발생에 따른 대처 방법과 사후 대응, 스마트돌봄서비스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의 인터뷰 내용 등이 담겼다.

사례집은 ‘고립예방플랫폼 똑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이수진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장은 “사회적 고립, 고독사 위험 가구가 늘어나면서 AI와 IoT를 활용한 ‘스마트돌봄’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며 “스마트돌봄이 고립위험가구를 조기 발굴하고 가구별 맞춤형 서비스 지원 및 연계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앱 깔듯이 새 기능 다운로드… 국산차 '업데이트' 중 [트럼프 2기, K제조업 다시 뛴다]
  • 법원 창문 깨부수며 "판사 어딨어!"…그들을 누가 움직였나 [이슈크래커]
  • 이번엔 김민희…또 언급된 ‘혼외자’, 여전히 뜨겁다 [해시태그]
  • 엔비디아發 ‘HBM4 시대’ 성큼…차세대 D램 경쟁 가열
  • 신규 모달리티부터 조영제까지…연초 바이오 IPO ‘후끈’
  • GGM, 설 연휴 전까지 순환 파업…‘캐스퍼’ 생산 차질 빚나
  • 전지훈련 오키나와 결정전…'최강야구' 경남대 2차전 결과는?
  • 美 ESS, K배터리 캐즘 돌파 열쇠로 [트럼프 2기, K제조업 다시 뛴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1.21 11:0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918,000
    • -0.62%
    • 이더리움
    • 4,891,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641,000
    • -1.61%
    • 리플
    • 4,658
    • +1.09%
    • 솔라나
    • 350,500
    • -7.23%
    • 에이다
    • 1,489
    • -1.78%
    • 이오스
    • 1,203
    • -3.14%
    • 트론
    • 356
    • +2.59%
    • 스텔라루멘
    • 658
    • -0.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77,000
    • -1.79%
    • 체인링크
    • 36,460
    • -0.84%
    • 샌드박스
    • 833
    • -0.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