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안전불감...내진설계 반영 탄약고 고작 19% [단독][2024 국감]

입력 2024-10-24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탄약고 안전거리 위반 문제도 수년째 개선 안돼

▲21일 강원 철원군 문혜리 훈련장에서 호국훈련의 일환으로 열린 실사격 훈련에서 육군 8사단의 K9A1자주포가 포탄을 발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강원 철원군 문혜리 훈련장에서 호국훈련의 일환으로 열린 실사격 훈련에서 육군 8사단의 K9A1자주포가 포탄을 발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 군이 보유한 탄약고 중 내진설계가 반영된 탄약고가 19.2%에 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탄약고 안전거리 위반 문제 역시 수년째 개선되지 않고 있어 폭발 등 사고가 발생할 경우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현재 군이 보유한 3590개 탄약고 중 내진설계가 반영됐거나 내진성능 평가가 완료된 동수는 687곳(19.2%)이다.

탄약고 5개 중 4개는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거나 내진성능 평가도 하지 않은 셈이다. 전체 내진설계 대상 군사시설 1만9197동 중 내진설계가 반영됐거나 내진성능 평가가 완료된 동수는 1만2289동으로 전체 64% 수준이다.

특히 탄약고의 경우 ‘민간 또는 부대 내 안전거리 위반’ 문제도 수년째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제5조 제1항에 따르면 탄약고는 시설 최외곽경계선으로부터 1km 범위를 이격해야 한다. 국방부에서도 ‘탄약 및 폭발물 안전관리기준 지시’에서 탄약량에 따라 이격 범위를 달리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육군은 2021년(721건)부터 매년 민간과의 안전거리 위반 건수가 증가해 올해 1406건을 기록했다. 지난해보다도 6건이 늘었다. 해병대에서도 동 위반건수가 2021년부터 올해까지 14건으로 유지돼, 문제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군에서만 민간과의 안전거리 위반 탄약고 건수가 2021년 1만527건에서 올해(9486건)으로 줄어들었다.

부대 내 안전거리 위반 문제도 비슷한 상황이다. 육군 탄약고 부대 내 안전거리 위반 건수는 2021년 247건을 시작으로 매년 줄어 올해 127건으로 집계됐으나, 해군과 공군에서는 계속 증가해 올해 29건과 1518건으로 각각 확인됐다. 해병대의 탄약고 부대 내 안전거리 위반 건수는 2021년부터 4년째 9건 그대로다.

국회에서도 매년 탄약고 안전거리 준수나 내진설계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국방부 등에서는 예산 등을 이유로 문제 개선이 더딘 상황이다.

박 의원은 “최근 러우전에서도 우크라 드론이 러시아 본토의 핵심 탄약고를 타격함으로써 큰 피해가 발생됐다”며 “안전거리 미준수와 내진설계 미비로 사고 발생시 또는 전시 시 큰 피해가 예상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방부 차원의 시급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탄약 및 폭발물 저장시설에 대해 방호성능이 우수하고 안전한 지하형 신설을 늘려가야 한다”며 “많은 예산이 들어가는 일인 만큼 국민적 관심과 장기 대책 및 주기적 국회 보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짝퉁 천국 아니었어?"…Z세대에게 통한 중국의 '새 얼굴' [솔드아웃]
  • 與 새 원내사령탑에 '3선 김병기'…"李성공 뒷받침"
  • [종합] 관세 어려움 토로한 최태원 회장…이재용 회장은 “李 자서전 읽어봤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외교부, 이스라엘 이란 공습에 “우리 국민 피해 접수 없어”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올 여름 보양식은 '이거' 어떠세요…민물의 왕 '가물치' [레저로그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360,000
    • -1.22%
    • 이더리움
    • 3,539,000
    • -6.28%
    • 비트코인 캐시
    • 599,000
    • -0.75%
    • 리플
    • 2,981
    • -3.47%
    • 솔라나
    • 203,700
    • -6.6%
    • 에이다
    • 888
    • -5.63%
    • 트론
    • 373
    • -1.32%
    • 스텔라루멘
    • 362
    • -4.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360
    • -2.6%
    • 체인링크
    • 18,550
    • -6.5%
    • 샌드박스
    • 369
    • -5.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