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IT, 다국적 학생 구성 'G-서포터즈'와 국내 기업 R&D 현장 찾아

입력 2024-10-18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상그룹 및 롯데정밀화학 현장 방문 통해 국내 산업기술 R&D 우수성 확인

▲전영건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대외협력실장(왼쪽)이 다국적 학생으로 구성된 글로벌 연구개발(R&D) 서포터즈와 17일 롯데정밀화학 중앙연구소의 연구개발 현장을 국내 기업의 R&D 현장을 확인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전영건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대외협력실장(왼쪽)이 다국적 학생으로 구성된 글로벌 연구개발(R&D) 서포터즈와 17일 롯데정밀화학 중앙연구소의 연구개발 현장을 국내 기업의 R&D 현장을 확인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다국적 학생으로 구성된 글로벌 R&D 서포터즈(G-서포터즈)가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R&D) 현장을 찾아 국내 산업기술의 R&D 우수성을 눈으로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은 17일 G-서포터즈와 함께 대상그룹 이노파크, 롯데정밀화학 중앙연구소의 연구개발 현장을 탐방했다고 18일 밝혔다.

G-서포터즈 프로그램은 KEIT와 한국산업기술문화재단이 주관하며, 해외 유학생을 포함한 국내·외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대한민국 산업기술 R&D의 글로벌 홍보단이다.

이번 R&D 현장 방문은 한국의 산업기술을 접하기 어려웠던 해외 유학생 등 국내·외 대학(원)생들이 실제 연구 현장을 경험하고 기업 연구개발에 대해 이해하는 등 국내 산업기술 R&D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학생들은 연구개발 현장을 직접 견학하며 국내 기업의 R&D 과정을 배우고, 소속 연구원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먼저 국내 정상급의 바이오 기술을 보유한 대상그룹 이노파크에서는 아미노산, 스페셜티 소재의 연구 현장을 직접 눈으로 확인했다. 이어 국내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김치, 장 등 식품류 및 제약, 사료 등 소재 분야의 연구 현장에 대한 안내로 이어졌다.

이어 새롭게 단장한 롯데정밀화학 중앙연구소에서는 고기능성 의약용·식품용 첨가 소재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 첨단 도료·건자재 등의 연구개발 과정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배양육 등 첨단 바이오의 생생한 연구 과정을 체험했다. 배양육은 살아있는 동물의 줄기세포를 채취·배양해 인공적으로 생산한 육류로, 세포 배양으로 고기에 가장 가까운 맛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 축산업 대비 최대 92%까지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전윤종 KEIT 원장은 "G-서포터즈가 R&D 현장 방문을 통해 한국 산업기술을 몸소 익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국제교류 활동을 추진해 산업기술의 세계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속보 경북 북동부 산불 사망자 18명으로 늘어...경북 14명·경남 4명
  • 사망사고까지…싱크홀, 도대체 왜 발생하는 걸까? [해시태그]
  • 단독 금융당국 '보험사기 블랙리스트' 검토 [8조 원의 행방上]
  • 12단에서 16단으로…HBM, 얼마나 더 쌓을 수 있을까 [ET의 칩스토리]
  • 이재명 ‘선거법 위반’ 2심 오늘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유행 따라 출격, 끝은 상폐?’…운명의 갈림길 선 ETF
  • "싱크홀 전조 현상 있었다…지하철 공사 원인 가능성 70%"
  • 비트코인, 美 소비자신뢰지수 위축에 횡보…솔라나·도지는 일주일새 10%↑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3.26 10:1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315,000
    • +0.28%
    • 이더리움
    • 3,051,000
    • -0.62%
    • 비트코인 캐시
    • 499,200
    • +1.63%
    • 리플
    • 3,623
    • +0.36%
    • 솔라나
    • 212,300
    • +1.72%
    • 에이다
    • 1,105
    • +1.84%
    • 이오스
    • 842
    • -0.36%
    • 트론
    • 336
    • +0%
    • 스텔라루멘
    • 436
    • +1.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050
    • +0.68%
    • 체인링크
    • 22,820
    • +1.65%
    • 샌드박스
    • 458
    • +3.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