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법인 파업에…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 “인권이나 합리적 이유 없는 차별 있는지 검토”

입력 2024-09-24 14: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도법인 파업…차별 있는지 신중 검토"
"이재용 회장 항소심…사법부 신뢰"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가운데)이 24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정례회의 전 기자들과 만나 인터뷰를 하고 있다. (박민웅 기자 pmw7001@)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가운데)이 24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정례회의 전 기자들과 만나 인터뷰를 하고 있다. (박민웅 기자 pmw7001@)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이 최근 삼성전자 인도법인 가전 공장 노동자 파업 사태에 관해 “인권이나 합리적 이유 없는 차별이 있는지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24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정례회의 전 기자들과 만나 “근로자의 권리라는 건 국내외 사업장을 막론하고 보장받아야 할 기본 권리”라며 이같이 밝혔다.

인도 삼성전자 스리페룸부두르 가전 공장 노동자 수백여 명은 9일부터 노동조합 인정, 근로 시간 개선,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했다. 이들은 출근하지 않은 채 공장 인근에 천막을 치고, 시위하고 있다. 해당 공장은 냉장고, 세탁기 등을 생산한다. 연간 120억 달러(약 16조 원)에 달하는 삼성전자 인도 매출의 약 3분의 1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삼성전자 사측은 최근 인도 타밀나두주 지방 법원에 파업 노동자들이 공장 안팎에서 선동과 구호, 연설 등으로 공장 운영을 방해한다며 노동자들이 공장 등 시설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접근금지 가처분 신청을 한 상황이다.

30일 예정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경영권 불법 승계 의혹과 관련한 항소심에 관해서는 “법조인으로서 우리나라 사법부를 신뢰한다”면서도 “다만 매 심급마다 달라질 수 있어서 최종적으로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의견을 말씀드릴 수 없다”고 했다.

앞서 검찰은 2020년 자본시장법 위반과 업무상 배임 혐의 등으로 이재용 회장을 재판에 넘겼다. 검찰은 이 회장이 경영권 승계와 그룹 지배력 강화를 목적으로 2015년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에 관여했고 자신에게 유리한 거래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주주에게 손해를 입혔다고 판단했다. 지난 2월 1심은 이 회장의 19개 혐의를 모두 무죄 판결했고, 검찰은 이에 항소했다.

이 회장과 준감위의 대면식 일정에 관해서는 “삼성이 지금 내외부적으로 처한 어려움 때문에 일정이 바쁘다”며 “우선적으로 급한 업무를 처리하고, 만남을 하려고 계속 조율·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준감위는 곧 2023 연간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현재 초안 작성은 모두 마친 상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만능'으로 평가받던 아이언돔·애로우…철벽이 뚫린 이유는 [리썰웨폰]
  • "신제품 나온다고?"…다마고치, Z세대 사로잡으며 레벨업! [솔드아웃]
  •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진입 신호탄…美 법안 통과에 '거래소·페이업체' 수혜
  • "여름엔 이거 먹어야 힘써요"…6월에 꼭 먹어야 하는 장어 [레저로그인]
  • 수도권 공급, 3기 신도시 ‘패스트트랙’이 답…수도권 추가 택지 발굴 가능성도
  • 권력 분산‧상호 견제 공감대…검찰개혁 ’시즌2’ 다시 시험대로
  • G7서 ‘33조 잠수함 수주’ 탄력받나 …K방산 기대 확산
  • ‘임금협상·주 4.5일제’ 현대차부터 상견례 “올해 완성차 하투(夏鬪) 예고”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876,000
    • +0.18%
    • 이더리움
    • 3,461,000
    • +0.49%
    • 비트코인 캐시
    • 640,000
    • -1.01%
    • 리플
    • 2,972
    • -1.2%
    • 솔라나
    • 201,400
    • -1.18%
    • 에이다
    • 823
    • -2.6%
    • 트론
    • 377
    • -1.31%
    • 스텔라루멘
    • 346
    • -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360
    • -3.57%
    • 체인링크
    • 17,780
    • -1.11%
    • 샌드박스
    • 351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