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전략] 외국인 ‘반도체 외’ 12.5조 순매수 수급역전…위험 관리 필요

입력 2024-09-09 08: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9-09 08:01)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9일 전문가들은 증시 하방 위험이 높아졌다며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미 증시는 8월 비농업취업자수가 예상을 하회하자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광범위한 매도세에 하락 마감. S&P500 지수는 주간 기준 4.2% 하락하며 23년 3월 이후 최악의 한 주를 보냄. 나스닥은 5.8%, 다우는 2.9% 하락하며 각각 2001년, 2008년 이후 가장 안 좋은 9월 첫째 주 수익률을 기록함. 이는 8월 비농업취업자수가 14만2000명을 기록하며 시장이 예상한 16만5000명을 하회하였기 때문.

산 넘어 산. 지난주 기준, 코스닥은 8%나 하락하며 주요 지수 중 가장 큰 낙폭을 기록함. 국내 증시에 대한 외국인 연간 누적 순매수는 반도체 11.3조 원, 반도체 외 12.5조 원으로 4개월 만에 수급 역전이 발생함. 결국, ① 외국인 수급 부재 ② 반도체 약세 ③ 커진 경기 둔화 압력은 증시 하방 위험을 높이는 요인. 위험 관리 필요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미국의 8월 고용 이후 시장 참여자들간 의견 대립, 9월 FOMC 불확실성, 국내 연휴을 앞둔 수급 공백 등 이번주 증시 대응 난이도는 높아질 전망. 하지만 경기 침체 민감도가 높은 만큼, 상기 준메이저급 지표에서도 상황 반전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판단, 9일(현지시간) 애플의 신제품 발표 이후 이미 기대치도 낮아졌으며 가격 조정을 받은 AI주들에게 주가 복원력이 생성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볼 필요.

더 나아가, 국내 증시는 지난주 낙폭 과대 인식 속 밸류에이션상 역사적 하단까지 내려왔다는 점도 주중 증시 대응 전략에 반영해야 할 부분. 보수적 밸류에이션인 코스피 후행 PBR은 9월 6일 0.89배까지 하락했으며, 이는 지난 8월 5일 폭락장(당시 종가 2441pt, 현 시점에서 0.87배는 2490pt) 수준에 근접한 것. 현재의 증시 환경은 8월 초와 동일한 악재에 노출된 상태이기에 일시적으로 2500pt를 이탈할 수 있겠으나, 관련 악재 선반영 및 학습효과를 감안 시 2500pt 초반 부근에서 주가 복원력이 생성될 것으로 판단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 절반만 서울? GTX·개발사업 ‘강남’ 집중…강북ㆍ서남권 홀대는 ‘여전’
  • 한은 빅컷ㆍ들쑥날쑥 가계대출에 금융당국, 추가 대책 '만지작'
  • [K-금융, 퀀텀점프①]금융사 CEO 10명 중 8명 글로벌 전초기지는 '아세안'
  • "큰 아이에게 숨김없이 얘기했다"…장신영, 강경준 불륜 논란 이후 첫 심경
  • 한강 '노벨문학상', 새로운 트렌드도 만들까? [솔드아웃]
  • 모든 출연진이 여자…‘정년이’는 페미니즘 드라마? [해시태그]
  • 단독 ‘도박’ 중독으로 병원 찾는 청소년 5년 새 2.5배 늘어...범죄 수법도 고도화
  • '사생활 논란' 라이즈 승한 복귀 일파만파…'꽃집' 된 SM엔터 앞 상황
  • 오늘의 상승종목

  • 10.14 10: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4,696,000
    • -0.11%
    • 이더리움
    • 3,324,000
    • +0.06%
    • 비트코인 캐시
    • 435,500
    • -1.22%
    • 리플
    • 717
    • -0.83%
    • 솔라나
    • 199,900
    • +1.58%
    • 에이다
    • 468
    • -1.47%
    • 이오스
    • 635
    • -0.47%
    • 트론
    • 218
    • -0.46%
    • 스텔라루멘
    • 121
    • -2.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900
    • -0.81%
    • 체인링크
    • 14,510
    • -1.96%
    • 샌드박스
    • 355
    • -0.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