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중국 자동차에 최대 200% 관세…전기차 의무명령도 끝”

입력 2024-07-19 13: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멕시코서 세금 없이 만들어 미국에 판매”
“중국 공장 이제 미국에서 건설될 것...그래야 판매”
“전기차 의무명령 끝내고 수천 달러 절감해줄 것”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공화당 대선후보 수락 연설을 하고 있다. 밀워키(미국)/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공화당 대선후보 수락 연설을 하고 있다. 밀워키(미국)/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1월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되면 중국산 자동차에 최대 200%의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말했다. 동시에 조 바이든 행정부가 시행 중인 전기자동차 정책도 취임과 함께 끝내겠다고 공언했다.

1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공화당 대선후보 수락 연설에서 “멕시코 국경 너머에서 대규모 공장이 건설되고 있다”며 “중국이 세금 없이 자동차를 만들어 우리에게 판매하고자 건설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자동차 공장을 짓고 있는데, 그 공장은 미국에서 건설될 것이고 미국인들이 그 공장을 운영할 것”이라며 “만약 그들이 동의하지 않는다면 우린 각 차량에 약 100~2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고 차들은 미국에서 판매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나아가 “전미자동차노조(UAW)는 일이 이렇게 되도록 내버려 둔 것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껴야 하고 숀 페인 위원장은 당장 해고돼야 한다”며 “미국은 자동차 제조를 다시 시작할 것이다. 빠르게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전기차 정책도 뒤집겠다고 장담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전기차 의무명령을 취임 첫날 종료할 것”이라며 “현재 일어나고 있는 미국 자동차 산업의 완전한 몰락을 막고 미국 고객들에게 자동차 한 대당 수천 달러의 비용을 절감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언급한 의무명령은 자동차 배출가스 기준 강화 등 바이든 정부가 추진해 온 친환경 전기차 정책을 의미한다. 과거에도 그는 해당 정책을 자동차 고객들에게 전기차 구매를 강요하는 명령이라고 지적했다.

AP통신은 “트럼프의 (전기차 관련) 약속은 연설을 시작한 지 거의 한 시간 만에 가장 큰 환호와 박수를 일으켰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킹 여파에 '탈 SKT' 행렬…하루만에 2만5000명 빠졌다
  • 韓, '대행 지명 금지' 헌재법 거부권…"대통령 임명권 형해화"
  • '대구 산불' 23시간 만에 진화…휴교령 내린 학교도 내일부터 정상등교
  • 이승기, 무거운 소식 전했다…"장인어른 사건 참담, 처가와 관계 단절할 것"
  • 특허가 사업 판가름…K바이오, 특허 전쟁 격화
  • “한국 취업 너무 힘들어요”…다시 짐싸는 K-유학생들 [두뇌유출 中]
  • 부활하는 브라질 국채 …신용도·환차손 경고음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14:2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190,000
    • +0.47%
    • 이더리움
    • 2,588,000
    • +0.39%
    • 비트코인 캐시
    • 530,500
    • +4.64%
    • 리플
    • 3,281
    • -0.15%
    • 솔라나
    • 210,800
    • -1.86%
    • 에이다
    • 1,010
    • -1.56%
    • 이오스
    • 986
    • +1.23%
    • 트론
    • 357
    • +0.56%
    • 스텔라루멘
    • 404
    • -2.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000
    • -4.19%
    • 체인링크
    • 21,510
    • +0.51%
    • 샌드박스
    • 432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