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수 부족한데 쓸 덴 많고 尹은 "건전재정"…고민 깊어지는 기재부

입력 2024-05-19 14:56 수정 2024-05-19 16: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법인세수 급감…재정여건 개선 불투명한데 지출부담↑
尹 "R&D 예타 폐지·촘촘한 약자 복지…건전재정도"
"세수 안걷히고 증세도 어려워"…결국 지출 구조조정

세수 급감으로 나라곳간에 비상등이 켜졌지만 지출 요소는 불어나고 있어 재정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3대 세목(소득·법인·부가가치세)이 제대로 걷힐지 불투명한 상황에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등 재정 신속 집행으로 1분기 총지출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건전재정을 강조하면서도 연구·개발(R&D) 예비타당성조사 전면 폐지와 촘촘한 약자 복지 등을 주문했다. 야권의 13조 원 규모 민생회복지원금까지 현실화할 경우 재정 부담은 가중될 전망이다.

19일 기재부의 '3월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1~3월 누계 국세수입은 84조9000조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조2000억 원 줄었다. 주요 원인은 법인세가 급감한 탓이다. 3월은 결산법인이 12월 신고하는 법인세 납부 실적이 반영되는 시기인데, 코스피(전년대비 영업이익 -45%)·코스닥(-35.4%) 상장사 사업실적 저조 등으로 3월 법인세 납부세액은 전년동월대비 5조6000억 원 감소했고, 3월까지 누계로는 18조7000억 원으로 작년동기대비 5조5000억 원(22.8%) 적었다.

올해 1분기 소득세(27조5000억 원)도 고금리로 인한 이자소득세 증가(3월·2000억 원)에도 주요 기업 실적 부진에 따른 성과급 감소로 작년 대비 7000억 원 줄었다. 부가가치세는 신고납부 증가와 환급 감소 등에 따라 3조7000억 원 올랐지만 관세(-3000억 원)·상속증여세(-2000억 원)·종합부동산세(-1000억 원) 등은 감소했다.

국세수입 감소는 재정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기재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5월호에서 3월 누계 관리재정수지는 75조3000억 원 적자로,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14년 이후 가장 많은 규모였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성기금수지 흑자를 제외해 실질적 나라살림을 보여주는 지표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달 발간한 재정점검보고서와 세계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중앙·지방정부 회계·기금 부채 등 국가채무+비영리공공기관 부채) 비율은 55.2%였다. GDP 대비 D2 비율은 2013년 37.7%에서 10년간 17.5%포인트(p) 늘어 비기축통화국 11개국 중 싱가포르(63.9%p)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반면 기재부 재정정보공개시스템 '열린재정' 등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총지출은 작년동기대비 25조4000억 원 오른 212조2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였다. 3월까지 예산 대비 진도율은 32.3%로 작년대비 1.7%p 높다. 1분기에만 연간 예산 3분의 1이 투입된 셈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월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월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기재부의 주요 고민 지점은 당장 세수 여건은 물론 재정 상황이 좋지 않고 개선 가능성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지출 요소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윤 대통령은 17일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국가 R&D 예타 전면 폐지 및 투자 규모 대폭 확충을 지시했다. 총사업비 500억 원(국비 300억 원) 이상 국책사업을 실시하려면 사업 타당성을 검증하는 몇 개월간의 예타를 거쳐야 하는데,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을 위해 관련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과학기술계 요구를 받아들인 셈이다.

그 밖에 △어르신 기초연금·생계급여 확대 △경력단절여성·청년 지원 등 촘촘한 약자 복지 정책을 주문하는 한편 건전재정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재정을 살펴볼 때면 빚만 잔뜩 물려받은 소년 가장과 같이 답답한 심정이 들 때가 있다"면서 "건전재정이 무조건 지출을 줄이자는 의미는 아니다. 비효율적인 부분은 과감하게 줄이고 필요한 곳에는 제대로 써서 효율성을 높이자는 것"이라고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금 정부도 역대 정부처럼 돈을 써보려는데 현재 누적된 적자가 많고 세수도 잘 걷히지 않고 있다"며 "그렇다고 이번 정부가 증세하는 정부인 것도 아니니 기업 실적이 확연히 좋아지길 기대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투자나 R&D를 확대하라는데, 감세는 자제하겠지만 증세도 할 수 없다"며 "올해 세법 개정안에 세수를 늘릴 법안을 담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윤 대통령이 올해 초 24차례 민생토론회에서 제시한 240개 정책과제도 기재부의 숙제로 남았다. 기재부 예산실 관계자는 "대통령 말씀이니 가급적 구체화해야 할 것"이라며 "속도와 시기, 정도를 어떻게 할 것인지는 대통령실, 여당과 계속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지출 구조조정' 등 재정 효율화가 이러한 재정 난국 타개 방안으로 떠오르는 모습이다. 특히 이번 재정전략회의에선 연평균 2% 수준인 재량지출 증가율을 '0'으로 전제하고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하는 방안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재량지출은 정부가 정책적 의지에 따라 재량껏 편성하는 예산으로, 지출 근거와 법령이 명시된 의무지출을 정부 총지출에서 제외한 것이다. 신규사업 재원은 기존 재량지출을 조정해 충당하면서 재정 부담을 줄여나가겠다는 계산이다.

한편 22대 총선에서 압승한 더불어민주당이 개원 직후 13조 원 규모의 전 국민 25만 원 민생회복지원금 특별조치법 발의를 예고한 것도 당국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민주당은 총선 전후로 정부에 관련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을 요구해왔다. 정부는 재정 여건이 빠듯한 만큼 현금성 보편지원을 위한 추경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달 초 "경제 여건이나 재정 지속 가능성을 봤을 때 재정의 역할은 전 국민한테 현금을 지급하거나 추경을 편성하는 것보다 사회적 약자 같은 민생 어려움이 있는 특정 층을 타깃해 지원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85,000
    • +0.63%
    • 이더리움
    • 5,310,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646,000
    • +0.47%
    • 리플
    • 723
    • -0.69%
    • 솔라나
    • 231,700
    • -0.77%
    • 에이다
    • 632
    • +0.8%
    • 이오스
    • 1,135
    • +0.35%
    • 트론
    • 159
    • +1.92%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00
    • -1.16%
    • 체인링크
    • 25,600
    • -1.69%
    • 샌드박스
    • 624
    • +2.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