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0개월 만에 ‘사실상 기준금리’ LPR 인하…경기부양 박차

입력 2023-06-20 11: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년물·5년물 LPR 0.1%p씩 인하
시장 반응 미온적...“예상됐던 조치”
0.15%p 인하 기대 못 미쳐

▲중국 베이징에 있는 인민은행 전경. 베이징/AP뉴시스
▲중국 베이징에 있는 인민은행 전경. 베이징/AP뉴시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20일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인하했다.

CNBC 등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1년 만기 LPR를 연 3.65%에서 3.55%로 0.1%포인트(p) 인하하기로 했다.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의 기준점이 되는 5년 만기 LPR는 4.3%에서 4.2%로 이 역시 0.1%p 내리기로 했다.

인민은행이 LPR를 내린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시장의 전망과 부합하는 결정이다.

LPR는 중국 내 주요 18개 시중은행이 보고한 최우량 고객 대출 금리의 평균치로, 인민은행이 매달 공표하는 사실상의 기준금리로 통한다. 인민은행은 LPR를 낮추거나 높여 고시하는 방식으로 시중금리를 조절해왔다.

인민은행은 지난주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0.1%p 인하하는 등 최근 잇따라 정책금리를 내렸다. ‘제로 코로나’ 정책 폐지 이후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성과가 예상과 달리 부진하면서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경기 부양에 박차를 가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중국 대출우대금리(LPR) 추이. 단위 연 %. 분홍색: 5년 만기(20일 4.2%) / 검은색:1년 만기(3.55%). 출처 블룸버그
▲중국 대출우대금리(LPR) 추이. 단위 연 %. 분홍색: 5년 만기(20일 4.2%) / 검은색:1년 만기(3.55%). 출처 블룸버그
하지만 시장의 반응은 미온적이다. 일련의 정책금리 인하로 LPR를 낮추는 것도 예상됐던 이벤트였던데다가 일부 전문가들은 인하 폭이 0.15%p로 평소보다 더 클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경기둔화에 대한 중국 정부의 대응이 느리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당초 시장에서는 16일 국무원 회의 후 새로운 대규모 부양책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왔지만, 국무원은 지금까지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여기에 블룸버그통신은 리창 총리가 이번 주 독일과 프랑스로 첫 해외 공식 순방길에 오른 것은 아직 경기부양책 발표가 임박하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전날 중국 당국의 경기 부양책이 제한적일 것이란 이유로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에서 5.4%로 하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인구 감소, 부채 증가, 부동산 투기 억제에 대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지시 등을 감안할 때 중국의 부동산과 인프라 부양책은 목표 수준이고 온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옌린 전 중국 공산당 중앙재경위원회 판공실 부주임은 “정부가 필요한 곳에 더 강력한 정책을 추가하는 것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며 “정책 조정은 튜브에서 치약을 짜내는 것처럼 하지 말고 더 빨리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빠른 사업·대형 평형 극대화 '철의 약속'
  • '소집 해제' 슈가, 직접 인사 전했다…"음주운전, 멤버들에게도 미안" [전문]
  • 트럼프 “대이란 공격 결정 2주가 최대...이란에 정신 차릴 시간 주고 있다”
  • [시승기] ‘조용하고 강한 SUV’…신형 넥쏘, 주행감에 놀라고 효율에 두 번 놀라
  • "새 아파트 살래요"...5년 이하 신축에 쏠리는 수요자들
  • 장마와 함께 돌아온 원조 '좀비물'⋯근원적 공포 표현한 '28년 후' [시네마천국]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시즌 중간 결산 대회…‘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우승 후보는?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039,000
    • -1.22%
    • 이더리움
    • 3,190,000
    • -4.55%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2.12%
    • 리플
    • 2,870
    • -2.61%
    • 솔라나
    • 186,800
    • -3.76%
    • 에이다
    • 773
    • -3.5%
    • 트론
    • 382
    • +0%
    • 스텔라루멘
    • 329
    • -2.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670
    • -2.78%
    • 체인링크
    • 16,650
    • -3.92%
    • 샌드박스
    • 329
    • -4.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