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ㆍ주택거래 부진에 7월 인구이동 49년 만에 '최저'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이동 총 46만 명 전년보다 18.3%↓..19월째 감소세

(자료제공=통계청)
(자료제공=통계청)

지난달 국내 인구 이동이 인구 고령화 가속화와 고금리 부담에 따른 주택거래 감소 여파로 49년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7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이동자 수는 1년 전보다 18.3%(10만3000명) 줄어든 46만 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달 기준으로 1973년(44만8000명) 이후 49년 만에 가장 적다.

국내 이동자 증감율은 2021년 1월(-2.2%) 이후 1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통계청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국내 이동 감소세가 장기화되고 있는 추세"라며 "특히 인구 이동 동향을 분석할 때 주택거래 현황, 주택경기지표를 보는데 올해 5~6월 주택거래량은 11만4000건으로 전년보다 27.5%(6만5000건)로 크게 감소한 것도 국내이동 급감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주택거래량은 기준금리 인상 지속에 따른 대출금리 부담 확대 여파로 2021년 10월부터 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고금리로 인해 집 매입을 꺼리고, 이로 인해 이사를 가는 사람이 적어져 이동 수도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총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자는 64.7%로 전년보다 20.0%% 감소했다. 시도 간 이동자는 35.3%로 15.1% 줄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0.6%로 전년대비 2.4%포인트(P) 감소했다.

지난달 시도별 순이동(전입-전출)을 보면 인천(3628명), 경기(2228명), 충남(1252명) 등 7개 시도는 순유입, 서울(-1576명), 부산(-1544명), 경남(-1268명) 등 10개 시도는 순유출됐다.

시도별 순이동률은 세종(1.7%), 인천(1.5%), 제주(0.9%) 등은 순유입 됐고, 울산(-0.9%), 부산(-0.5%), 전북(-0.5%) 등은 순유출됐다.

순유입 지역은 경기(3896명), 인천(2011명), 충남(1114명) 등 7개 시도였고, 서울(-1810명), 경남(-1649명), 경북(-1143명) 등 10개 시도는 순유출됐다.

시도별 순이동률은 세종(2.3%), 인천(0.8%), 충남(0.6%) 등은 순유입했으나 울산(-0.9%), 경남(-0.6%), 경북(-0.5%) 등은 순유출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진짜 멀고도 가까운 일본…애정과 비난사이
  • 루이비통 회장의 이유 있는 한국 사랑…“한국 생각만 해도 눈물이 난다?”
  • 일본서도 외면받는 후쿠시마 수산물…한국에 진짜 들어올까
  • '믿보배' 전도연·설경구의 킬러 액션···넷플릭스 '길복순' 제작보고회 현장 [영상]
  • 아르헨 신문 추천 ‘꼭 알아야 할 한국 배우 10명’
  • 하락장에도 ‘이천·강릉’은 올랐다···이유는 일자리ㆍ교통?
  • '첫 민간발사체 성공’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 "내년 상장ㆍ상업 발사 목표"
  • 반도건설, 미국 LA에 한국식‘K-주택’ 1000가구 수출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7,048,000
    • -0.53%
    • 이더리움
    • 2,404,000
    • +2.21%
    • 비트코인 캐시
    • 176,100
    • -1.12%
    • 리플
    • 562.4
    • +11.04%
    • 솔라나
    • 30,490
    • -1.01%
    • 에이다
    • 465.5
    • +2.69%
    • 이오스
    • 1,567
    • -1.82%
    • 트론
    • 88.53
    • +0.56%
    • 스텔라루멘
    • 121.9
    • +3.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110
    • -1.07%
    • 체인링크
    • 9,700
    • -0.61%
    • 샌드박스
    • 887.1
    • -1.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