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823.32포인트(2.68%) 오른 3만1500.68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116.01포인트(3.06%) 급등한 3911.74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75.43포인트(3.34%) 급등한 1만1607.62로 거래를 마쳤다. 이번 주 뉴욕증시 3대 지수는 6월 들어 첫 주간 기준 상승 마감했다. 금주 다우 지수는 5.4%, S&P 500 지수는 6.5%, 나스닥 지수는 7.5% 각각 올라 3주 연속 하락세에 마침표를 찍었다. 이날 S&P 500 지수는 2020년 5월18일 이후 약 2년 만에 하루 최대 폭 상승을 기록했다..
연준이 주목하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최근 시장을 덮친 금리인상 공포가 다소 누그러졌다.
미시간대는 이날 향후 12개월 기대인플레이션 확정치가 5.3%로 종전 발표한 예비치 5.4%에서 소폭 하향됐다고 발표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8년 만에 처음으로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인상)을 밟게 만든 지표가 소폭 하향 조정됐다는 소식에 시장에서는 연준이 공격적 긴축 강도를 낮출 수 있다는 기대가 커졌다.
상승세는 업종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S&P500 11개 업종 모두가 상승세를 보였다. 금융 부문은 3.8% 상승하며 시장 상승을 주도했다. 전날 연준이 발표한 미국 대형 은행들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로 금융주들이 랠리를 펼쳤다. 자산 1000억 달러 이상의 34개 은행을 대상으로 한 올해 테스트는 미국의 실업률이 10%로 올라가고 미 국내총생산(GDP)이 3.5% 감소하며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40%, 주택 가격이 28.5%, 주가가 55% 각각 폭락하는 상황을 가정했다. 연준은 이 같은 악조건에도 대형 은행들이 규정상 최소 자본요건의 두 배 이상을 보유, 경기침체 상황에서도 기업과 가계에 대출을 계속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2분기 예약자가 두 배로 늘었다고 발표한 카니발 코퍼레이션(12.4%)과 로열캐리비언그룹(15.8%) 등 크루즈 회사들도 두 자릿수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간 낙폭이 컸던 기술주도 동반 상승세를 탔다.
연준의 대표적인 매파(통화긴축 선호) 인사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스위스 취리히에서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가 과도하다”며 시장의 공포를 달랬다.
주요 뉴스
많이 본 뉴스
글로벌경제 최신 뉴스
마켓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