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마감] 베어플랫 5년물 1.7%대 2년만 최고, 연내 인상 우려+외인 매도

입력 2021-05-31 19: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0년물 입찰 부담+전주 한은 국고채 단순매입 루머 되돌림
당분간 약세 불가피..물량부담에 플래트닝 지속 여부는 확인 필요

(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협회)

채권시장은 이틀연속 약세(금리상승)를 이어갔다. 단기물이 상대적으로 약해 일드커브는 플래트닝됐다. 특히, 국고채 5년물 금리는 1.7%대로 올라서면서 2년만에 최고치를 보였다. 한국은행 기준금리(0.50%)와의 격차는 10년2개월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20년물 이상 초장기물 또한 2년7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주 5월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기준금리 연내 인상 우려가 커지는 분위기다. 3조4000억원 규모로 실시된 국고채 30년물 입찰에 대한 부담감도 있었다. 지난주말 한은이 국고채 단순매입을 실시할 것이라는 루머가 돌면서 일정부분 되돌렸었던 부문 역시 부담이었다. 5월 들어 국채선물 시장에서 포지션을 늘렸던 외국인도 이틀연속 매도를 보였다.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6개월에서 1년 정도 앞당겨질 가능성에 적응하는 시기가 계속될 것이란 관측이다. 이에 따라 당분간 약세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봤다. 다만 장기물에 대한 입찰로 물량부담이 지속되는 만큼 커브 플래트닝 지속 여부는 확인이 필요하다는 관측이다.

(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협회)
31일 채권시장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통안1년물은 4.0bp 상승한 0.700%로 2개월보름만(3월15일 0.712%)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통안2년물은 4.5bp 오른 1.009%로 1년1개월만(작년 4월22일 1.009%)에 가장 높았다. 국고3년물은 6.5bp 올라 1.227%를 보였다. 이는 2개월보름만(3월15일 1.238%)에 최고치다.

국고5년물은 6.6bp 오른 1.739%로 2년만(2019년 5월15일 1.755%)에, 국고10년물은 4.7bp 상승해 2.179%로 2년6개월만(2018년 11월22일 2.206%)에 각각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고20년물은 2.8bp 오른 2.294%를, 국고30년물은 2.1bp 올라 2.292%를, 국고50년물은 2.2bp 오르며 2.292%를 보였다. 이는 각각 2년7개월만(2018년 10월 16일 2.306%, 15일 2.299%, 8일 2.292%)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국고10년 물가채는 2.8bp 상승한 0.780%에 거래를 마쳐 3월24일(0.800%) 이후 2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은 기준금리와 국고채간 금리차를 보면 3년물과는 72.7bp로 2개월보름만(3월15일 73.8bp)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5년물과는 123.9bp, 10년물과는 167.9bp로 각각 10년2개월만(2011년 3월9일 150bp, 188bp)에 가장 크게 벌어졌다.

국고 10-3년간 금리차는 1.8bp 좁혀진 95.2bp로 지난달 23일(92.3bp) 이후 한달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국고10년 명목채와 물가채간 금리차이인 손익분기인플레이션(BEI)은 1.9bp 확대된 139.9bp를 기록했다.

(한국은행, 금융투자협회)
(한국은행, 금융투자협회)
6월만기 3년 국채선물은 전장대비 17틱 하락한 110.72를 보였다. 이는 전월 6일(110.67) 이후 최저치다. 장중엔 110.66까지 떨어져 역시 전달 6일 장중 보인 110.65 이래 가장 낮았다. 장중 고점은 110.84로 장중변동폭은 18틱을 기록했다.

미결제는 44만7083계약을 보였다. 원월물 미결제 104계약을 합한 합산 미결제는 44만7187계약이었다. 이는 역대 최대치를 보였던 27일 46만898계약 이래 이틀째 감소세다. 거래량은 19만9734계약이었다. 원월물 거래량도 1계약이었다. 근월물과 원월물 합산 회전율은 0.45회였다.

매매주체별로 보면 금융투자가 6202계약을, 외국인이 4145계약을 각각 순매도했다. 모두 이틀연속 순매도다. 반면 은행은 6959계약을 순매수해 이틀째 매수세를 보였다.

6월만기 10년 국채선물은 지난주말보다 43틱 하락한 125.20을 기록했다. 이는 3월18일(125.10) 이후 최저치다. 장중 저가는 125.04로 3월19일(124.60) 이래 가장 낮았다. 장중 고점은 125.59로 장중변동폭은 55틱이었다.

미결제는 13만8138계약을 보였다. 원월물 미결제는 8계약이었다. 합산 미결제는 26일 14만590계약으로 2개월만에 최대치를 보인 후 사흘째 줄어든 것이다. 거래량은 7만4947계약이었다. 원월물 거래량은 1계약이었다. 합산 회전율은 0.54회를 보였다.

매매주체별로 보면 금융투자가 3178계약을 순매도했다. 외국인도 482계약을 순매도해 이틀째 매도세를 이어갔다. 반면, 은행은 2165계약을 순매수해 사흘만에 매수전환했다.

현선물 이론가의 경우 3선은 저평 5틱을, 10선은 저평 4틱을 각각 기록했다. 3선과 10선간 스프레드 거래는 전혀 없었다. 근월물과 원월물간 롤오버의 경우 3선은 외국인 2계약, 금융투자 1계약, 개인 1계약을, 10선은 금융투자와 개인이 각각 1계약을 보였다.

▲31일 국채선물 장중 추이. 왼쪽은 3년 선물, 오른쪽은 10년 선물 (체크)
▲31일 국채선물 장중 추이. 왼쪽은 3년 선물, 오른쪽은 10년 선물 (체크)
증권사의 한 채권딜러는 “지난주 미국채는 소폭 강세로 마무리됐지만, 원화채는 전주에 이어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과 30년물 입찰 영향으로 약세 출발했다. 주말사이 일부 연구기관 및 보도로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한 부담이 더 커졌고, 지난주말 한은 국고채 단순매입 루머로 되돌린 부문도 있어 시장에 악재로 작용했다. 5월중 대규모로 선물을 매수했던 외국인도 매도 포지션으로 바꾸면서 금리는 단기물을 중심으로 큰 폭 상승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당초 예상보다 6개월에서 1년 정도 인상 시기가 앞당겨지면서 시장은 이 부분을 소화하는 과정에 진입했다. 당분간 약세는 불가피해 보인다”며 “물량 부담도 여전한 상황이어서 커브 플랫 지속여부는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692,000
    • -1.69%
    • 이더리움
    • 4,964,000
    • -1.53%
    • 비트코인 캐시
    • 582,000
    • -4.75%
    • 리플
    • 698
    • -0.99%
    • 솔라나
    • 202,700
    • -1.41%
    • 에이다
    • 570
    • -2.73%
    • 이오스
    • 876
    • -6.41%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7
    • -2.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850
    • -4.57%
    • 체인링크
    • 20,120
    • -4.82%
    • 샌드박스
    • 494
    • -9.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