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일본 도쿄 주식시장에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보다 21.81포인트(0.07%) 내린 2만9708.98에 장을 마감했다. 특히 닛케이225지수는 이날 오전 한때 200포인트가량 하락하기도 했다. 토픽스지수도 전장 대비 15.57포인트(0.79%) 떨어진 1951.86에 거래를 끝냈다.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에 따라 긴급사태에 준하는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를 도쿄에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시장 심리를 악화시켰다.
반면 중국증시는 이날 사흘 만에 반등세를 보였다. 상하이종합지수가 전날보다 2.93포인트(0.08%) 오른 3482.55에 폐장했고, 선전성분지수도 전장 대비 10.63포인트(0.08%) 상승한 1만3989.94에 거래를 마쳤다.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차이넥스트(창업판지수) 역시 전 거래일 대비 19.79포인트(0.70%) 상승한 2826.99에 장을 마감했다.
관련 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로 금리 유지 방침 재확인과 그간 하락장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중화권 증시도 이날 강세를 보였다. 대만 가권지수는 전날보다 111.08포인트(0.66%) 오른 1만6926.44에 거래를 마쳤다. 홍콩 항셍지수는 한국시간 기준 오후 4시 55분 전날보다 1.5% 상승한 2만9015선에서 움직였다.
코로나19 재유행 우려는 최근 아시아 증시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최근 하루 신규 확진자가 약 두 달 만에 3000명을 돌파하는 등 재유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변이 바이러스 재확산도 심각하다. 아사히신문은 이날 일본 내 변이 바이러스 신규 감염자가 지난 2월 22일~28일 주간 56명에서 지난달 22~28일 주간에 767명으로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불과 한 달 사이에 14배나 폭증한 것이다. 4차 유행 양상이 뚜렷해질수록 일본 도쿄올림픽 행사에 차질은 물론, 경제 정상화 속도도 더뎌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