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64%,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 없거나 미정

입력 2021-03-07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자료=한국경제연구원)

대기업 10곳 중 6곳이 상반기 채용계획이 없거나 아직 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계획을 수립한 곳은 10곳 중 4곳으로 절반이 되지 않았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7일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7.3%가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채용계획을 아직 수립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46.3%였다.

반면, 신규 채용 계획을 수립한 곳은 36.4%로 조사됐다.

한경연에 따르면 신규 채용이 없거나 미정인 기업 비중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크게 늘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신규 채용이 없는 대기업은 8.8%, 채용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대기업은 32.5%였다.

올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을 수립한 대기업 가운데 50.0%는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로 채용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린다는 기업은 30.0%, 줄이겠다는 기업은 20.0%였다.

신규 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는 기업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악화 등을 이유로 꼽았다.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부진'을 꼽은 기업은 51.1%였다. 이어 '고용경직성' 12.8%, '필요직무 적합 인재 확보 곤란' 10.6%,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부담 증가' 8.5% 순이었다.

신규 채용을 늘리겠다는 대기업의 75.0%는 '미래 인재 확보 차원'을 이유로 들었다.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ㆍ4차 산업혁명 등 신산업 또는 새로운 직군 인력 수요 증가'를 이유로 꼽은 기업은 8.3%였다.

기업들은 올 상반기 안으로 수시채용을 도입할 것으로 조사됐다. 수시채용을 통해 신규 인력을 충원하겠다는 기업은 76.4%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7%포인트 늘었다.

신규 채용 확대를 위해서는 35.2%가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했다. 인센티브를 확대해야 한다는 기업은 24.0%였다. '신산업 성장 동력 육성 지원',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은 각각 21.1%, 10.3%였다. 9.4%는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꼽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K’라서 사는 게 아니다”…일본 내 K뷰티 열풍 비결은 ‘속도감ㆍ트렌디’
  • “러닝화에 77년 기술력 담아”…성수 푸마 ‘나이트로 하우스’[가보니]
  • 정부, 철강 산업 보호 나선다…수입 제품 우회 덤핑 차단
  • “학생 수 적어 내신도 불리”...학령인구 감소에 지역 간 대입 격차 커져
  • '그알' 강남 의대생 살인 사건, 충동인가 계획인가…치밀하게 준비된 범행
  • "올해 부동산시장, 지역별 차별화 현상 심화…변수는 금리·규제"
  • '尹 탄핵 반대' 소폭 상승...중도층은 찬성 여론 더 높아 [한국갤럽]
  • 故 김새론 유족, "연락 달라"는 김수현에 사과 요구…"사귄 것 인정하고 사과하라"
  • 오늘의 상승종목

  • 03.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265,000
    • -0.92%
    • 이더리움
    • 2,825,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495,300
    • +2.08%
    • 리플
    • 3,481
    • -1.3%
    • 솔라나
    • 197,800
    • +0.05%
    • 에이다
    • 1,080
    • -1.46%
    • 이오스
    • 734
    • -0.27%
    • 트론
    • 323
    • -1.82%
    • 스텔라루멘
    • 401
    • -1.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690
    • -0.32%
    • 체인링크
    • 20,300
    • -0.2%
    • 샌드박스
    • 415
    • -0.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