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그룹, 일감 몰아주기·경영권 승계 동시 해결 모색해야"

입력 2019-01-28 16: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 제공=GS그룹)
(사진 제공=GS그룹)

GS그룹이 구조적으로 일감몰아주기 규제 대상에 많이 노출돼 있는 계열사 문제를 경영권 승계 이슈와 함께 해결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신지배구조연구소는 28일 발표한 '대기업집단 지배구조보고서 GS그룹'에서 "(주)GS 최대 주주 등 지분변동 공시가 2016년 9건에서 지난해 18건으로 최근 급증하는 등 경영권 승계와 관련된 지분변동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실제로 2010년부터 2018년까지 GS그룹 소속 상장 계열사들의 최대주주 등 소유주식변동에 따른 공정공시는 총수일가가 많은 지주회사 (주)GS에 집중됐다.

이 기간 (주)GS의 최대주주 등 지분변동 공시는 91건으로 전체 상장 계열사 최대주주 등 지분변동 공시의 77.1%를 차지했다.

특히 최근 3년 간은 (주)GS의 최대주주 등 지분변동 공시가 평균 12.7건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 (2010년~2015년) 평균 8.8건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GS그룹의 기업공개비율은 국내 10대그룹 중 가장 낮았다. 작년 5월 기준 GS그룹의 국내 계열사 총 71개사 중 상장 계열사는 6개사로 8.5%의 기업공개비율을 기록했다.

특히 친족에 의한 내부지분율이 6.7%를 기록, 타 그룹 평균(1.6%)대비 높기 때문에 앞으로 일감 몰아주기 규제에 노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GS그룹 소속 계열사 중 사익편취대상은 총 14개 사지만, 향후 관련 규정이 강화될 경우 규제대상 기업이 최소한 29개사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총 71개 계열사 중 40.8%가 일감몰아주기 규제대상이 될 수 있는 셈이다.

안상희 대신지배구조연구소본부장은 "GS그룹은 그동안 지주회사 (주)GS를 중심으로 한 계열사에 대한 소유구조가 단순화돼 있는 등 지배구조가 안정적인 편"이라면서도 "그러나 최근처럼 경영권 승계 이슈가 있을 경우 그룹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세밀한 승계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GS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하는 곳만 하는 시대 지났다…너도나도 슈퍼리치 리테일 사활[증권사 WM 대전]①
  • 텔레그램 기반 낫코인, 비트코인 혼조 속 일주일간 345% 뛰며 시총 50위권 안착 [Bit코인]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013,000
    • +1.21%
    • 이더리움
    • 5,324,000
    • -0.13%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0%
    • 리플
    • 722
    • -0.41%
    • 솔라나
    • 230,000
    • -0.86%
    • 에이다
    • 633
    • -0.16%
    • 이오스
    • 1,143
    • +0.62%
    • 트론
    • 157
    • -1.26%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00
    • +0.53%
    • 체인링크
    • 25,500
    • -1.62%
    • 샌드박스
    • 654
    • +4.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