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정오] 코스피 2305.07p, 하락세 (▼5.83p, -0.25%) 지속

입력 2018-07-16 12: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하락세로 출발했던 코스피시장이 기관과 외국인의 ‘팔자’ 기조에 장 중반에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16일 정오 현재 코스피지수는 5.83포인트(-0.25%) 하락한 2305.07포인트를 나타내며, 2310선을 두고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이 시간 현재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매수 포지션을 취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 중이다.

개인은 1596억 원을 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47억 원을, 기관은 1621억 원을 각각 매도하고 있다.

업종별 현황은 의료정밀(+0.44%) 업종의 상승이 눈에 띄는 가운데, 운수장비(+0.31%) 기계(+0.26%)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통신업(-1.31%) 음식료품(-1.03%) 등의 업종은 하락 중이다.

이외에도 의약품(+0.18%) 등의 업종이 상승 중이며, 건설업(-0.78%) 비금속광물(-0.76%) 종이·목재(-0.67%) 등의 업종이 동반 하락 중이다.

삼성전자가 0.54% 내린 4만6250원을 기록 중이며,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0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이 3.91% 오른 19만9500원을 기록 중이고, 현대차(+3.27%), 셀트리온(+3.12%)이 상승 중인 반면 KB금융(-2.17%), SK(-1.83%), SK텔레콤(-1.66%)은 하락 중이다.

그 외 효성화학(+9.37%), 효성첨단소재(+8.44%), 신일산업(+8.28%) 등의 종목이 상승세인 가운데, GS리테일(-8.36%), 해성디에스(-8.17%), 효성(-7.79%) 등은 하락 중이다.

현재 291개 종목이 상승 중이며 540개 종목이 하락, 59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외환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129원(-0.35%)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본 엔화는 1004원(-0.33%), 중국 위안화는 168원(-0.40%)을 기록 중이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팀 위시가 왜 이리 잘해"…엔터사 1위 경쟁, '굿즈'가 좌우한다? [솔드아웃]
  • “편의점 쓸어왔어요” 크보빵 인기, 포켓몬빵 수준? [해시태그]
  • "가을엔 가을전어? 봄에는 이것"…바다의 봄을 알리는 생선 [레저로그인]
  • [종합] ‘어도어’ 손 들어준 법원…“뉴진스 독자활동 금지해야”
  • MLB서 절치부심한 이정후, 김하성…'키움 출신' 메이저리거들의 선택은 [셀럽의카]
  • 관세 충격 아직 안 끝났나…비트코인, 8만4000달러로 하회 [Bit코인]
  • HLB, 간암 신약 FDA 승인 불발…“2차 보완요구서한 수령”
  • '무승부' 오만전, 업혀 나간 이강인…부상 정도는?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229,000
    • -0.08%
    • 이더리움
    • 2,911,000
    • -0.03%
    • 비트코인 캐시
    • 487,000
    • -1.2%
    • 리플
    • 3,554
    • -1.06%
    • 솔라나
    • 187,200
    • -0.9%
    • 에이다
    • 1,056
    • -0.56%
    • 이오스
    • 831
    • +0.85%
    • 트론
    • 350
    • +1.45%
    • 스텔라루멘
    • 412
    • -0.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150
    • -1.28%
    • 체인링크
    • 20,680
    • -1.38%
    • 샌드박스
    • 417
    • -1.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