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고객 심기 살펴라” 바짝 긴장한 한국기업

입력 2017-01-04 10: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사드 보복’ 경제적 압박 날로 고조…“반한감정 더할라” 소비자 상담실·현장교육 강화

▲한반도의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결정에 중국 정부가 경제적 보복을 가하면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크게 줄었다. 중국 정부는 다음 달까지 한국행 전세기에 대한 운항 신청을 불허했으며, 중국 여행사에는 오는 4월까지 한국행 여행객을 20% 줄이라는 지침을 내렸다. 3일 서울 명동의 한 상점 앞에 유커를 위한 쇼핑 혜택을 알리는 입간판이 세워져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한반도의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결정에 중국 정부가 경제적 보복을 가하면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크게 줄었다. 중국 정부는 다음 달까지 한국행 전세기에 대한 운항 신청을 불허했으며, 중국 여행사에는 오는 4월까지 한국행 여행객을 20% 줄이라는 지침을 내렸다. 3일 서울 명동의 한 상점 앞에 유커를 위한 쇼핑 혜택을 알리는 입간판이 세워져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중국 정부가 새해 외교 핵심 사안으로 ‘사드 배치 반대’를 공언하자, 한국 산업계가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중국 정부의 개입으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를 놓고 안보 가치와 경제 가치가 충돌하면서, ‘금한령(禁韓令)→전세기 불허→제조업’에 이르는 보이지 않는 압박의 수위가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4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ㆍ기아차 등 중국 내 사업 비중이 높은 대기업들이 중국 현지 시장에서 국민 여론이 반한(反韓)으로 돌아섰을 경우 미칠 여파를 놓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선 현장에서는 “중국 소비자 심기를 살피라”라는 현장 지침을 급히 하달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중국 소비자와 접점을 형성하는 부서를 중심으로 상담실 운영을 강화하고, 불필요한 오해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현장 교육도 강화하고 있다.

현대차의 경우 올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인 중국 5공장인 충징공장이 초미의 관심사다. 사드로 인해 중국 판매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중국 정부가 외교방향의 핵심 중 하나로 공식화하면서, 정몽구 회장 등 경영진이 직접 중간점검을 지시하는 등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국은 2000년 마늘 파동 때에 휴대전화 수입 금지라는 직접적인 통상 수단을 가한 전력이 있다. 당시 한국이 중국산 마늘에 물리는 관세를 10배가량 올리자 일주일 뒤 중국 정부는 한국산 휴대전화와 폴리에틸렌의 수입을 전면 중단했다. 당시 한국이 중국에서 들여오는 마늘은 1000만 달러 미만이었는데 중국이 막아버린 수출 규모는 5억 달러를 넘었다.

이처럼 한·중 갈등이 고조될수록 재계의 속앓이는 점점 커져가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는 삼성SDI와 LG화학이 만든 전기차 배터리를 쓰는 차종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배터리 보조금은 차량 가격의 50%에 달한다. 보조금을 지급받지 못하면 완성차 업체는 한국 업체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 이와 관련해 중국 정부는 “자국 내 모든 기업이 대상이고, 240여 개 업체가 난립한 상황을 정리해, 시장 경쟁력을 높이려는 조치”라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현재 삼성과 LG그룹, 현대차그룹 등 우리 대기업들부터 부품ㆍ소재를 공급받고 있는 중국 거래선들은 아직까지 표면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사드 문제는 양국 정부 간 외교적 문제일 뿐, 기업 간 거래에서는 관련이 없다는 모습이지만, 각 기업은 언제 돌변할지 모른다면서 거래선의 심중을 살피는 모양새다.

반면 중국인 관광객 등 대(對)중국 매출에 상당 부분 의지하는 유통업계는 이미 초비상 상황에 돌입했다. 면세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우려가 없다고 하면 거짓말”이라며 중국 관광객과 연계된 면세, 호텔, 여행 등 전반적인 상황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는 “춘절과 노동절, 중추절, 국경절이라는 면세업계 4대 행사에 타격이 우려된다”면서 “당장 춘절과 관련한 영향은 적을 것으로 보이나, 매출 비중이 큰 노동절과 국경절의 실적은 벌써부터 걱정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44,000
    • +0.28%
    • 이더리움
    • 5,297,000
    • -0.38%
    • 비트코인 캐시
    • 644,500
    • -0.08%
    • 리플
    • 724
    • -0.55%
    • 솔라나
    • 231,200
    • -0.99%
    • 에이다
    • 630
    • +0.32%
    • 이오스
    • 1,134
    • +0.18%
    • 트론
    • 159
    • +1.27%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50
    • -0.76%
    • 체인링크
    • 25,620
    • -1.42%
    • 샌드박스
    • 620
    • +1.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