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호 “한진해운에 세금 지속 투입하는 게 더 큰 문제”

입력 2016-09-22 17: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2일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결정과 관련, “한진해운이 이렇게(법정관리) 된 것이 가슴 아프지만 세금이 지속적으로 들어가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로 물류망 복원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이같이 답변했다.

유 부총리는 “채권단이 (추가로) 6000억 원을 지원하면 그것도 국민의 세금이고 또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몰랐다”면서 “중소화주들이나 갑자기 당하신 분들의 마음이 아프고 저도 안타깝지만 살리기에는 국민의 혈세가 너무 많이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그는 해운업을 살리기 위해 새롭게 선박펀드를 조성해 해운과 조선업을 모두 살려야 한다는 제안에는 즉답을 피했다.

유 부총리는 “(해운업이) 국가 안보상 매우 중요하다는 데는 동의한다”면서 “물론 비상시에 한진해운이나 현대상선을 일시에 동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필요하면 다른 배라도 쓰는 비상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또 “기업주가 자구노력을 통해 화물이 제대로 하역이 되도록 해결해야 한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다음 달까지는 해결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공공부문 성과연봉제 도입 반발로 파업을 예고한 것에 대해 “저성과자 퇴출과 성과연봉제는 다른 것”이라며 “노사 간에, 정부와 같이 원만히 해결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소득불평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소득세와 법인세 누진 정도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국제 비교를 하면 결코 소득세 누진도가 낮지 않다”면서 “법인세의 경우에도 우리나라처럼 3단계 누진 구조를 채택한 곳은 적은 편”이라고 말해 반대 입장을 보였다.

유 부총리는 대형 국책사업 등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예비 타당성 조사가 사업을 지연시키는 폐해가 있다는 지적에는 “시간을 줄여보려고 하고 있다”면서도 “국민 세금을 쓰는 일이기 때문에 따져볼 필요가 있어 도입된 것이고 그 취지를 살려 나가야 한다”고 불가피함을 언급했다.

오는 28일부터 시행되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김영란법)과 관련해 “일시적인 충격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는 쪽은 조금은 규모가 있는 (자영업) 업체들이다. 그런 것을 종합해서 확실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내부통제 태풍]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날씨] '낮 최고 35도' 서울 찜통더위 이어져…제주는 시간당 30㎜ 장대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10:0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20,000
    • +0.06%
    • 이더리움
    • 5,027,000
    • +2.11%
    • 비트코인 캐시
    • 552,500
    • +0.18%
    • 리플
    • 697
    • +0.29%
    • 솔라나
    • 190,900
    • -1.75%
    • 에이다
    • 544
    • +0.55%
    • 이오스
    • 805
    • +2.16%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3
    • +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50
    • +2.04%
    • 체인링크
    • 20,290
    • +2.73%
    • 샌드박스
    • 459
    • +3.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