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성과연봉제 조기도입 독려…산하기관 10곳 중 7곳 도입 완료

입력 2016-05-31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관섭 1차관 주재 2차 점검회의…공기업ㆍ준정부기관 85% 이사회 의결 또는 도입 확정

산업통상자원부가 공기업 성과연봉제 도입 시한을 한달 앞두고 막바지 조기도입 독려에 나섰다. 31일 현재 산하 공공기관 10곳 중 7곳이 이사회 의결을 완료하거나 도입을 마무리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30일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공공기관 부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관섭 1차관 주재로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산업부 소관 27개 공기업ㆍ준정부기관의 성과연봉제 도입현황을 점검한 결과, 한국전력 등 23개 공공기관(85.2%)이 이사회 의결(보고)을 완료하거나 도입을 확정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120개 공공기관의 성과연봉제 도입 시한을 공기업은 6월 말, 준정부기관은 12월 말로 잡고 도입 기관은 임금 인센티브를, 미도입 기관은 내년도 임금 동결 등 불이익을 주기로 방침을 정해놓은 상태다.

공기업 중에서는 한전을 비롯해 한국수력원자력ㆍ발전4사(중부ㆍ서부ㆍ동서ㆍ남부ㆍ남동발전)ㆍ지역난방공사, 광물자원공사, 석유공사 10곳이, 준정부기관으로는 세라믹기술원, 석유관리원, 무역보험공사, 산업단지공단, 디자인진흥원, 에너지기술평가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코트라, 전력거래소, 에너지공단, 전기안전공사 11곳이 이사회 의결을 마쳤다. 또 준정부기관인 산업기술진흥원, 원자력환경공단 2곳은 노사합의를 이끌어냈다.

추가로 13개 기타공공기관 중에서는 전략물자관리원, 로봇산업진흥원, 원자력문화재단, 기초전력연구원, 한국전력기술 등 5개 공공기관(38.5%)이 이사회 의결을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40개 소관 공공기관 중 아직 도입이 확정되지 못한 12개 기관도 적극적인 노사협의를 추진 중에 있다”면서 “6월 중 도입이 확산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인 시황 어디서 봐?"…'애그리게이터'만 알면 한눈에 파악한다 [코인가이드]
  • ‘법정관리’ 엑시트 옵션 불과…제2, 제3의 홈플 나온다 [사모펀드의 늪]
  • 올봄 한국인 여행객이 사랑한 인기 여행지는 또 '일본' [데이터클립]
  • 역린 건드린 KIA 홍종표…야유보다 무서운 無응원 [해시태그]
  • "골프는 원래 정장 입고 하는 스포츠?" [골프더보기]
  • 에너지 취약계층이라면…산업부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신청해볼까 [경제한줌]
  • BTS가 불 붙이고, 제니가 방점 찍었다?…'콘서트 가격 논란'의 본질 [이슈크래커]
  • 故 김새론 측 "김수현 소속사, 2차 증명서까지 보내…SNS 사진 게재까지 막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3.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60,000
    • -0.23%
    • 이더리움
    • 2,799,000
    • +0.54%
    • 비트코인 캐시
    • 500,000
    • +2.67%
    • 리플
    • 3,416
    • +1.3%
    • 솔라나
    • 186,500
    • -1.53%
    • 에이다
    • 1,057
    • +2.42%
    • 이오스
    • 721
    • +2.56%
    • 트론
    • 321
    • +1.26%
    • 스텔라루멘
    • 402
    • +3.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860
    • +0.73%
    • 체인링크
    • 20,140
    • +1.46%
    • 샌드박스
    • 419
    • +3.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