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사내유보자산 많은 기업 경제 기여 커”… 불필요 논쟁 멈춰야

입력 2016-05-17 11: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전경련)
(사진제공=전경련)
기업 사내유보자산이 많은 기업이 투자와 고용, 배당, 세금납부 등 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사내유보자산에 대한 불필요한 논쟁을 멈춰야 한다는 것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7일 ‘사내유보자산 상·하위 기업 비교’ 자료에서 사내유보자산이 많은 기업일수록 투자와 고용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전경련이 2015년 기준 사내유보자산이 가장 많은 10대 기업과 가장 적은 10대 상장사를 분석한 결과 상위 10사의 2015년 투자는 38조360억원으로 그렇지 않은 기업 투자(4291억원)의 88배에 달했다. 특히 상위 10사는 투자 금액이 영업이익 33조4000억원의 1.14배로 번 돈보다 투자를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중은 10.4%, 매출액 대비 투자 비중은 11.9%로 1000원을 벌어 104원을 남기고 119원은 투자에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 측면에서 상위 10사는 2011년부터 작년까지 4년간 종업원 수가 1만2288명 증가했지만, 하위 10사는 같은 기간 63명 증가하는 것에 그쳤다. 종업원 1명당 인건비 역시 상위 10사(9151만원)는 하위 10사(6706만원)보다 1.3배 높았다. 상위 10사 배당은 6조원이 넘는 수준으로 하위 10사의 218배에 달했다. 법인세는 상위 10사(7조2000억원)는 작년 전체 법인세(45조원)의 16.0%를 납부했다. 반면 하위 기업은 실적부진으로 법인세액이 0원인 기업이 1곳, 환급받은 기업이 5곳이어서 10사 중 4곳만이 법인세를 납부했다.

상위 10사는 꾸준한 영업이익을 통해 투자·고용·배당·세금 납부를 많이 하고도 사내유보자산 규모가 증가했다. 상위 10대 기업은 최근 3년간 영업이익이 나면서 사내유보자산이 2013년 301조4000억원에서 지난해 351조2000억원으로 증가했다. 이에 비해 하위 10사는 손실이 이어지면서 사내유보자산이 같은 기간 2조4000억원에서 마이너스(-) 7조원으로 감소했다. 영업이익(손실)이 나면 이를 원천으로 하는 이익잉여금이 증가(감소)하고,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으로 구성된 사내유보자산이 증가(감소)하기 때문이다. 기업의 성과가 좋으면 사내유보자산이 증가하고 반대는 감소하므로, 사내유보자산이 증가한 기업이 많을수록 경제에 긍정적이다.

전경련 송원근 본부장은 “지속적으로 이익을 내는 기업이라면 사내유보자산이 증가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그러한 기업이 국민경제에도 크게 기여한다”면서 “작년에 사내유보자산 환수와 기업 소득환류세제 강화 논의가 제기된 데 이어 최근에도 사내유보자산이 논란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불필요한 논쟁을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249,000
    • -1.81%
    • 이더리움
    • 4,929,000
    • -1.99%
    • 비트코인 캐시
    • 580,000
    • -5.07%
    • 리플
    • 701
    • +0.14%
    • 솔라나
    • 202,700
    • -1.03%
    • 에이다
    • 568
    • -3.07%
    • 이오스
    • 881
    • -5.57%
    • 트론
    • 163
    • +0%
    • 스텔라루멘
    • 136
    • -2.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700
    • -4.51%
    • 체인링크
    • 20,250
    • -3.71%
    • 샌드박스
    • 498
    • -8.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