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1년 미만 단기근로자 비중 38%…OECD국가 중 최고

입력 2014-11-18 22: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용직 임금 상하위 격차도 6위

한국의 단기근로자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 100명 중 38명은 근속기간이 1년 이하였다. 또 상용직도 상위 10%의 임금이 하위 10% 임금의 4.5배에 달할 만큼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승원 한국은행 국제무역팀장이 18일 발표한 ‘고용보호제도가 노동시장 이원화 및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근로자는 38%가 근속기간이 1년 이하였다.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국 다음으로 단기근속 비율이 높은 나라는 칠레(34.0%), 멕시코(32.2%), 터키(28.1%) 등이었다. 이는 OECD 각국의 2000∼2012년 자료를 평균해 산출한 결과다.

한국은 단기근속비율 외에도 노동시장의 양극화 정도를 보여주는 임시직비율, 임금십분위배율 등도 모두 OECD 상위권이었다. 한국의 임시직 비율은 25%로 칠레(30.5%), 스페인(29.8%)에 이어 3위였다. 미국(4.1%), 영국(6.1%), 일본(13.6%) 등의 임시직 비율은 한국보다 크게 낮다.

상용직 기준으로 하위 10%에 대한 상위 10%의 임금수준을 뜻하는 임금십분위배율도 한국은 4.5배에 달해 OECD 회원국 중 6위였다. 이 배율이 한국보다 높은 국가는 이스라엘(5.1배), 칠레(5.1배), 터키(4.8배), 미국(4.8배), 헝가리(4.8배) 등에 불과했다.

북유럽 국가인 노르웨이(2.2배), 스웨덴(2.3배)의 임금십분위배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작은 편에 속했다. 한국은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한 가운데 노동생산성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2000∼2009년 1인당 평균 노동생산성은 2만2484달러로 OECD 회원국 중 26위였다. OECD 평균은 2만9051달러이고 1위, 2위인 룩셈부르크와 미국은 각각 7만3483달러, 4만1195달러였다.

김 팀장은 “OECD 국가와 비교해 볼 때 한국은 고용 보호 수준에 비해 노동시장의 이원화 정도가 높다”며 “상용직·임시직의 고용 보호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상용직 고용을 일정 수준 보호하는 것은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향상시키지만, 일정 수준을 넘으면 증가율이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고용 보호가 과도하거나 과소하면 노동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254,000
    • -2.21%
    • 이더리움
    • 4,951,000
    • -2.44%
    • 비트코인 캐시
    • 582,500
    • -4.98%
    • 리플
    • 709
    • +1.87%
    • 솔라나
    • 201,400
    • -2.28%
    • 에이다
    • 566
    • -3.9%
    • 이오스
    • 875
    • -6.72%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7
    • -1.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550
    • -5.06%
    • 체인링크
    • 20,060
    • -6%
    • 샌드박스
    • 490
    • -10.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