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상권, 중대형 상가 공실률 서울 최저… ‘2%’ 불과

입력 2019-10-17 10:34 수정 2019-10-17 14: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일평균 유동인구 13만명… “높은 매출은 어려워”

▲(자료: 한국감정원·상가정보연구소)
▲(자료: 한국감정원·상가정보연구소)
서울 경희대 인근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서울 상권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희대 상권의 유동인구는 같은 대학가 상권인 이화여대 인근 상권보다 5만 명 이상 많았다.

17일 상가정보연구소가 한국감정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지난 1분기 3.9%에서 2%로 낮아졌다. 서울 상권에서 가장 낮은 공실률이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3.2%로 집계됐다.

상가정보연구소가 SK텔레콤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지오비전 통계를 통해 경희대 상권을 분석한 결과, 8월 기준 경희대 상권 일평균 유동인구는 12만9806명으로 월평균 389만4180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대문구에 위치한 이대역 상권의 일평균 유동인구(7만 6997명)보다 약 5만명이 많았다.

경희대 상권은 회기역이 가깝고 인근에 서울시립대, 한국외대 등 대학교로 둘러싸여 있다. 유동인구와 유효수요가 풍부한 상권이다. 다만 대학 상권인 만큼 시기에 따라 매출 차이가 크고, 유동인구 대부분이 젊은 층이어서 객단가(소비자 1인당 평균 매입액)가 낮아 높은 매출을 올리기 어렵다는 게 상가정보연구소의 분석이다.

실제 경희대 상권 내 치킨 매장 매출을 추정한 결과, 8월 기준 약 월 1787만 원 매출을 기록했다. 경희대 상권이 위치한 동대문구 평균 매출(2088만 원) 대비 301만 원 낮은 매출이다. 일반 식당(한식) 역시 경희대 상권 월 추정 매출은 887만 원으로 동대문구 평균 매출(1691만 원)보다 804만 원 낮았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경희대 상권 대로변의 한 상가 매물이 보증금 2억 원에 월 임대료 1000만 원으로, 임대료는 상당한 수준이고 권리금도 높은 편”이라며 “점포당 매출에 한계가 있어 합리적인 기준으로 권리금과 임대료가 형성돼야 상권 명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정상속분 ‘유류분’ 47년만에 손질 불가피…헌재, 입법 개선 명령
  • 2024 호텔 망고빙수 가격 총 정리 [그래픽 스토리]
  • "뉴진스 멤버들 전화해 20분간 울었다"…민희진 기자회견, 억울함 호소
  • "아일릿, 뉴진스 '이미지' 베꼈다?"…민희진 이례적 주장, 업계 판단 어떨까 [이슈크래커]
  • “안갯속 경기 전망에도 투자의 정도(正道)는 있다”…이투데이 ‘2024 프리미엄 투자 세미나’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8000원에 입장했더니 1500만 원 혜택"…프로야구 기념구 이모저모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986,000
    • -0.19%
    • 이더리움
    • 4,545,000
    • -0.24%
    • 비트코인 캐시
    • 689,500
    • -0.93%
    • 리플
    • 758
    • -1.04%
    • 솔라나
    • 209,600
    • -2.19%
    • 에이다
    • 681
    • -1.16%
    • 이오스
    • 1,216
    • +1.67%
    • 트론
    • 169
    • +1.81%
    • 스텔라루멘
    • 165
    • -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400
    • -2.53%
    • 체인링크
    • 21,010
    • -0.47%
    • 샌드박스
    • 668
    • -0.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