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이 경제다 ECO is ECO]기상이변 대응 기업 부담…‘탄소경영’ 선택 아닌 필수

입력 2014-10-24 10: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온실가스 감축은 글로벌 기업의 과제…탄소저감 기술 개발·조직문화 체질개선 등 노력

▲CJ제일제당은 녹색경영 그린 파트너십을 맺은 협력업체들과의 탄소배출권 협력체계 구축으로 탄소배출권 거래제 시행에 대응하고 있다. 지난 7월 협력업체와 저탄소 그린파트너십 워크숍을 개최했다(왼쪽 사진). 한편 지난 2010년 업계 최초로 탄소경영보고서를 발간한 SK하이닉스는 2012년 두 번째 보고서에 이어 올해 세 번째로 보고서를 발간해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탄소경영 활동 및 성과를 공개하고 있다.

기후변화 위협은 일상화됐으며 이에 대한 대응은 세계적 과제로 떠올랐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전 세계적으로 태풍, 폭우, 가뭄 등 대형 기상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그 피해 규모도 커지면서 기후변동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화석연료 경제체제에서 본격적인 저탄소 경제체제를 맞아 기업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다. 기업활동의 전 부문에 걸쳐 기후변화 적응을 관리하고 새로운 경쟁력을 발굴해 비즈니스 성과로 연결하는 경영활동인 이른바 ‘탄소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세계적 기업들은 이미 글로벌 이슈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경영’ 체제를 구축하고, 위험 관리와 사업 기회를 꾸준히 만들어 가고 있다.

◇‘탄소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 = 최근 산업계에 ‘온실가스 배출 감축’이 주요 경영과제가 된 것은 정부 규제로 인한 경영여건 변화 영향이 크다. 우리나라는 2009년 국제사회에 온실가스 감축 목표 협상을 완료함에 따라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에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2009년 기준)의 30%를 2020년까지 줄이도록 규정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10년부터 기업들에 대한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를 운영해 오고 있다. 올해 평가대상 기업은 모두 560개. 이들의 온실가스 총 예상 배출량은 6억600만톤CO2이고, 이 가운데 1700만톤CO2를 감축하도록 정부가 배출허용량을 설정했다.

또 내년 1월부터는 이산화탄소 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된다. 정부가 기업체에 탄소배출권을 할당하면 각 기업은 거래소에서 남는 배출권을 판매하거나 구매토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향후 3년간 16억8700만톤의 배출권을 기업에 할당해 전체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여 나갈 계획이다.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꾀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 개선과 온실가스 감축 기술 개발 등 탄소경영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전용기 현대증권 연구원은 “탄소배출권거래제 시행으로 기업들은 이에 대응할 준비를 하고 있다”며 “배출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환경 및 시설 투자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기후변화 위협으로 기업의 생산성 저하와 원가상승 위험이 증대된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삼성경제연구소가 내놓은 ‘가시화된 기후변화 리스크와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 에너지, 서비스 등 모든 산업에서 기후변화가 조달ㆍ생산ㆍ판매ㆍ투자 등 기업의 일상적 경영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박환일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기후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에너지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원자재가격과 물류비가 급상승하는 등 기업의 비용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때문에 선진기업 대다수(86%)가 경영시스템을 재정비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투자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기후변화 위협에 대처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 해법도 다양…탄소저감 기술개발, 조직문화로 체질화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이 경영의 핵심 이슈로 각광을 받으면서 국내 기업들도 기후변화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공감하고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탄소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수도·수자원 분야 최초로 국제 온실가스 감축 인증 제도인 글로벌 탄소경영 인증(CTS)을 획득한 수자원공사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용수 공급체계 개선, 고효율 펌프 도입 등 저탄소 친환경 물 관리를 통한 전사적 노력을 기울인 결과 지난해 온실가스 감축 원단위를 2011~2012년 대비 4.5% 이상 개선했다. 대우조선해양도 최근 압축공기 저감기술 개발, 시운전유 저감기술 개발 등 다양한 온실가스 저감 노력에 힘입어 전 세계 조선업계 최초로 CTS를 취득했다.

탄소저감 기술개발로 기후변화 위기에 대비하는 기업들도 있다. 지난 2010년 업계 최초로 탄소경영보고서를 발간한 SK하이닉스는 내년 배출권거래제 시행에 대응해 PFCs(과불화탄소, 6대 온실가스 중 하나) 현장 측정기술을 개발, 배출계수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또한 부산물 및 에너지 사용량을 고려해 전체 온실가스를 산출할 수 있는 NRE(Net Reduction Efficiency)도 개발했다.

대우건설은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재활용(CCU) 기술을 개발해 이산화탄소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시멘트를 대체하는 친환경 건설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회사 측은 이 기술을 발전소와 대규모 산업용 보일러 등에 적용하면 2030년까지 누적 매출기준 16조원의 신규 시장이 창출되고 새로운 일자리 1만6000개 이상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기업의 사내 문화 정착을 통해 ‘온실가스 줄이기’를 체질화하고 있는 곳도 있다. LG이노텍은 국내 사업장과 해외 사업장에 구축돼 있는 온라인 화상회의시스템 예약 시 탄소저감 효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임직원의 탄소저감 활동을 독려, 체질화하고 있다. 업무차량도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를 도입함으로써 업무상 이동할 때도 탄소배출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공항공사는 기존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시스템을 개선해 모든 직원이 공항별로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전사적 녹색경영체제에 돌입했다. 또 공항 상주업체의 자발적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공항 탄소포인트제도도 운영 중이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새로운 사업 기회로 활용해 나가는 사례도 눈에 띈다. CJ제일제당은 내년 탄소배출권 거래제 시행을 앞두고 협력업체와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은 법적으로 이 제도에 대한 의무 조항은 없지만,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면 필요한 기업에 판매해 새로운 수익을 창조할 수 있다. CJ제일제당은 30개 협력사의 탄소배출권 사업이 구체화되면 연간 1만5000톤의 탄소배출권(약 4억원 상당)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대중교통 요금 20% 환급"...K-패스 오늘부터 발급
  • "뉴진스 멤버는 쏘스뮤직 연습생 출신…민희진, 시작부터 하이브 도움받았다"
  • "불금 진짜였네"…직장인 금요일엔 9분 일찍 퇴근한다 [데이터클립]
  • 단독 금융위, 감사원 지적에 없어졌던 회계팀 부활 ‘시동’
  • "집 살 사람 없고, 팔 사람만 늘어…하반기 집값 낙폭 커질 것"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이어지는 의료대란…의대 교수들 '주 1회 휴진' 돌입 [포토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320,000
    • -2.74%
    • 이더리움
    • 4,561,000
    • -1.98%
    • 비트코인 캐시
    • 694,500
    • -5.06%
    • 리플
    • 766
    • -2.92%
    • 솔라나
    • 214,800
    • -4.15%
    • 에이다
    • 691
    • -4.43%
    • 이오스
    • 1,194
    • -1.49%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66
    • -2.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900
    • -4.17%
    • 체인링크
    • 21,090
    • -3.96%
    • 샌드박스
    • 673
    • -4.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