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
변함없는 탑픽
업종 내 가장 편안한 선택지
2Q25 Preview: 백화점, 면세점 일회성 비용 반영 vs 지누스 관세 환급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상향, 더 높아진 주주환원 정책 이행 의지
조상훈.김태훈 신한투자증권
◇HS효성첨단소재
글로벌 1위의 경쟁력
어려운 환경에도 흔들림 없는 실적
2Q Preview: 탄소섬유
전문가는 10일 국내 증시에서 전날 코스피지수 연고점(3133.74포인트) 경신에 따른 차익실현 욕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날 국내 증시는 보합권 출발하는 가운데 실적 시즌을 앞두고 개별 실적 모멘텀을 보유하거나 정책 기대감을 반영할 수 있는 종목을 중심으로 차별화 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시장에 퍼진
◇하나금융지주
최대실적 개선과 자본비율 상승 기대
경상순이익 기준 분기 최대실적 전망
환율하락의 도움, 주주환원율 추가 상승 기대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15,000 원
김은갑.손예빈 키움증권
◇기아
관세 시대 개막, 이제 버티기 싸움
관세로 인한 단기 압력. 전략적 가치 감안 시 저평가 국면
2Q Preview: 영업이익 2.9조원(-20.7%
NH투자증권은 9일 증권업종에 대해 성장과 주주환원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상승랠리가 장기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윤유동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증권주는 주가순자산비율(PBR) 0.9배에 도달했으며 추가적인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라며 "유동성 장세에서 기존 예상치를 상회하는 거래대금 확대에 따른 수익 증가와 상법개정안 등 주주환원 강화 법안 시행
한국투자증권은 9일 미래에셋증권에 대해 주가 추가 상승 여력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하고 목표주가 1만8000원을 유지했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호실적을 고려해 지속 가능 자기자본이익률(ROE)를 9.1%에서 9.3%로 상향했지만, 현재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92배인 상황”이라고 밝혔다.
하반기 실적 눈높이 ‘뚝’…목표주가 줄하향, 회복세 제한적 평가PBR 역사적 하단 근접…일각선 “주가 하단 견고” 반등 기대감
국내 배터리 업계를 이끄는 삼성SDI에 대한 실적 기대치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경쟁사인 LG에너지솔루션이 기대 이상의 실적을 발표하며 반등에 나선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삼성SDI의 목
신한투자증권은 LG화학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32만 원으로 상향한다고 8일 밝혔다.
이진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동종업계 멀티플 상향과 LG에너지솔루션 지분가치 상승을 반영해 상향한다”고 설명했다.
관세 불확실성과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수정안 통과로 화학과 이차전지 사업 관련 우려는 여전한 상황으로 진단했다. 특히
SK증권은 미래에셋증권을, 미래에셋증권은 한국금융지주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하는 리포트가 연달아 나오고 있다.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주주환원 기대감이 제한적이라는 이유에서다. 다만 이익체력 정상화에 따라 목표주가는 모두 상향 조정했다.
7일 SK증권은 리포트를 내고 미래에셋증권에 대해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
◇LG
상법개정으로 지배구조 개선되면서 동사 수혜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 도입⇒할인율 축소로 인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으로 동사와 같은 지주회사 가장 큰 수혜
감사위원회위원 선임·해임 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의결권 3%로 제한 ⇒ 보다 더 독립적인 감사기구 역할로 동사 지배구조 개선효과 클 듯
이상헌·장호 iM증권
◇신한지주
약 5천억원 자사주 매입
'주주환원→주가 상승→자금 유입' 선순환 시동"자사주 소각·배당 통해 투자자 신뢰확보 나설 것"
상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어서면서 금융지주사들의 기업가치(밸류에이션) 제고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일 한국거래소 및 금융업계에 따르면 올 초 이후 KRX금융지수와 KRX은행지수는 40% 가까이 급등하며 30개 인덱스 가운데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기
3일, 국회 본회의 통과코스피5000시대 서막증권가 긍정적 신호 '환영'
국회가 3일 본회의에서 상법 개정안을 처리하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증권가는 이번 개정안을 '시장 체질을 바꾸는 전환점'으로 평가하며 환영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증시를 부동산 대체 투자처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힌 만큼 자본시장 정상화
상법 개정 추진의 영향으로 지난달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쿠쿠홀딩스가 다소 주춤하고 있다. 상승 여력이 남아있는 가운데 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ESG) 리스크가 발목을 잡을지 주목된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쿠쿠홀딩스는 전날보다 1.13% 오른 3만1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달 16일 기록한 3만2850원보다 4.72% 하락했다. 실적 상승 기
2일 국내 증시는 전일 미국 증시의 기술주 조정 영향으로 보합권에서 출발하겠지만, 상법 개정 기대감과 원달러 환율 하락에 따른 외국인 수급 개선 가능성이 투자심리를 지지하며 대형주 중심으로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 = 1일(화) 미국 증시는 ISM 제조업 PMI와 JOLTs 구인건수가 예상치를 상회하며 경기 회복 기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감과 함께 만년 저평가 주로 꼽히는 이마트가 상승세다.
1일 오후 1시 58분 현재 이마트는 전일 대비 10.42% 오른 9만4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마트는 대표적인 저(低)주가순자산비율(PBR) 종목으로 평가받는다. 지난해에는 2월 들어 반짝 상승했으나 내리막을 걸으면서 종가 기준 6월 초 5만6500원을 기록하기도
DL이앤씨가 본업 실적 개선과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시장 확대 수혜가 기대된다는 증권가 호평에 힘입어 1일 주가가 급등 중이다.
이날 오전 11시 13분 기준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DL이앤씨는 전 거래일 대비 10.62% 상승한 5만7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KB증권은 DL이앤씨의 본업 실적 개선과 미국 SMR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가
KB자산운용은 고배당 금융주 상장지수펀드(ETF)인 'RISE 코리아금융고배당 ETF'가 동종 유형 상품 가운데 가장 뛰어난 성과를 내면서 주목받고 있다고 1일 밝혔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RISE 코리아금융고배당 ETF의 1개월, 3개월, 6개월 기준 수익률은 각각 16.35%, 34.53%, 45.01%를 기록하고 있다. 같은 기간 국내
흥국증권은 1일 롯데쇼핑에 대해 하반기 긍정적인 자산효과와 소비심리 개선으로 업황 모멘텀이 개선 가능할 전망으로, 외형 감소에도 불구하고 백화점이 주도하는 가운데 홈쇼핑, 전자제품전문점, 전자상거래(e커머스)의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 증익이 가능하다며 투자 의견을 '매수', 목표 주가를 9만 원으로 유지했다.
박종렬 흥국증권 연구원은 "롯데쇼핑의 2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KoAct 코리아밸류업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가 지난해 11월 상장 이후 27.3% 상승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같은 날 상장한 밸류업 ETF 12종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이다.
KoAct코리아밸류업액티브 ETF는 한국거래소 코리아밸류업지수를 비교지수로 삼아 밸류업 지수 내 우수기업과 밸류업 지수 편입 예상 기업, 주주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