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이 보이스피싱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검찰 사칭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 카카오톡 채널을 열었다.
대검 마약·조직범죄부(부장 노만석 검사장)은 20일 ‘보이스피싱 서류, 진짜인지 알려줘 콜센터’의 카톡 채널(대검찰청 찐센터)을 개설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찐센터’는 직통번호(010-3570-8242)를 통해 전화‧문자로만 상담 접수를 받았다.
보이스피싱 합수단, 조직원 31명 중 27명 기소총책 등 4명 추적 중…약 29억 원 편취 혐의대검 “마약과 검사 사칭한 보이스피싱 주의”
검찰이 6년 전 수사기관을 사칭해 보이스피싱 범죄를 저질렀던 중국 소재 콜센터 조직원 7명을 추적 끝에 재판에 넘겼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동부지검 보이스피싱범죄 정부합동수사단(단장 홍완희 부장검사)은 14일
신한은행이 보이스피싱 사고예방과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보이스피싱 종합 솔루션 플랫폼을 내놨다.
신한은행은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관련 종합 플랫폼 ‘지켜요(소중한 나의 자산)’를 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지켜요 플랫폼은 신한은행이 약 8개월간 보이스피싱 수법과 금융소비자들의 니즈에 대한 빅데이터를 분석해 자체 개발했다. 금융소비자보호 정책을 총괄
서울중앙지검은 '보이스피싱 서류, 진짜인지 알려줘 콜센터'(찐센터) 개설 1개월 만에 37건의 검찰 사칭 범죄 피해를 예방했다고 3일 밝혔다.
서울중앙지검이 9월 29일 찐센터 개설 이후 약 한 달간 운영한 결과 위조 서류를 이용한 보이스피싱 37건을 예방했다. 이 기간 신고전화 접수는 총 748건으로 집계됐다.
위조서류를 확인한 주요 사례로는 △가
서울중앙지검이 보이스피싱 방지를 위해 인권감독관 산하 '보이스피싱서류, “진짜인지 알려줘” 콜센터(찐센터)'를 개설했다고 밝혔다.
서울중앙지검은 29일 보이스피싱 수법은 나날이 교묘해져 실제 검찰청인 것처럼 검찰 관련 위조 서류를 사용해 피해자들을 속여 돈을 편취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검찰 관련 서류를 직접 확인하고, 진위를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