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바이오텍 계열사 차백신연구소(CHA Vaccine Institute)는 만성 B형간염 치료백신 후보물질 ‘CVI-HBV-002’의 임상2b상 결과보고서(clinical study report, CSR)를 수령했다고 23일 밝혔다.
앞서 차백신연구소는 지난 2019년 10월 CVI-HBV-002의 국내 임상2b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한국 식품의약품안
GC녹십자(GC Biopharma)는 지난 19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백신포럼(Global Vaccine Forum)에 참석해 회사의 mRNA 백신 개발전략을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IVI)와 유바이오로직스(Eubiologics)가 공동으로 주관했으며,
국산 제품이 없는 국내 폐렴구균 백신 시장에서 다국적 기업인 화이자와 MSD의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화이자가 20개 혈청형을 예방하는 ‘프리베나20’을 소아와 성인 대상 시장에 선보이면서 MSD의 15가 백신인 ‘박스뉴반스’와 점유율 씨름을 벌이게 됐다.
18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화이자는 이달 초 종근당과 판매 및 유통 파트너십을 맺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17일 ’2025년 상반기 대한민국엔지니어상 시상식을 개최하고 6월 수상자로 LG전자 기성현 책임연구원과 부강테크 오태석 리더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6월 대기업 수상자 기성현 LG전자 책임연구원은 가전제품의 실사용 소음을 저감하는 확장된 음향메타 기반의 흡음기술과 실시간 소음 가시화 시스템을 개발하여 가전제품
정몽구 명예회장 사재 기부 결실백신 개발 위해 100억원 기부백신혁신센터 중심 미래 감염병 예방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회장이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백신 개발을 위해 기부한 선한 씨앗이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핵심 인프라 ‘정몽구 미래의학관’으로 결실을 맺었다. 정몽구 미래의학관은 국내 첫 민간 주도로 전 주기 백신 개발 플랫폼을 마련하는 거점으로
셀리드는 유전자치료제 전문 개발 기업 알티큐어와 바이러스 벡터 기반의 CDMO 통합 솔루션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바이러스 벡터 기술의 국산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양사가 보유한 기술력과 생산 인프라를 바탕으로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연구개발부터 GMP 생산까지 연계되는 CD
고려대 의대 백신혁신센터가 16일 오전 9시30분 메디사이언스파크 동화바이오관 승명호홀에서 정몽구 미래의학관 개관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세션 1은 ‘글로벌 감염병 대비·대응을 위한 백신 연구기관의 역할과 협력’을 주제로 백신혁신센터, 질병관리청, 국제백신연구소(IVI)가 연구 현황을 공유한다. 세션 2는 mRNA 한타바이러스 백
GC녹십자(GC Biopharma)는 4일 미국 관계사 큐레보백신(Curevo Vaccine)이 대상포진 백신 후보물질 ‘아메조스바테인(amezosvatein, 프로젝트명: CRV-101)’의 임상2상 확장 연구(Phase 2 extension trial)에서 첫 피험자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기존에 진행한 2상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했으며
안동 출신 강조…“안동은 제 출발점이자 종착점”“독재정권 분열정치로 지역감정 생겨…이겨내야”대구선 “내란세력 심판하는 선거가 이번 대선”“지방 균형 발전 추진할 것…대통합의 대통령 되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대선 본 투표를 이틀 앞둔 1일 ‘보수의 심장’ 대구·경북(TK) 지역을 찾아 막판 표심 잡기에 나섰다. 이 후보는 경북 안동이 자
케네디 장관, 줄곧 mRNA 방식 의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백신 제조사 모더나와의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계약을 해지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앤드루 닉슨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엄격한 검토 끝에 모더나의 H5N1형 조류인플루엔자 mRNA 백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는 과학적, 윤리적으로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고려대학교의료원이 초정밀 미래의학을 통해 어렵고 힘든 질병 치료에 집중하고, 연구 중심 선순환 성장을 통해 의료계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미래 의료를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고대의료원은 26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 의과대학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증난치성질환 정복을 위한 2028 대전환’을 선언했다. 고려대의료원은 설립 100주년을 맞는 2028년에 단순
코스닥은 지난 한 주(5월 19~23일)간 9.09포인트(1.25%) 내린 715.98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투자자는 2000억 원어치 순매수했고 외국인, 기관은 각각 209억 원, 556억 원어치 순매도했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 기간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상승한 종목은 셀리드로 90.24% 오른 6430원에 거래를 마쳤다. 중화권과
신약 개발부터 공정 관리, 맞춤형 치료에 적용가상 시뮬레이션으로 비용 절감에 효율 높인다삼성바이오로직스‧종근당‧노바티스‧화이자 활용
제약·바이오업계가 현실의 사물이나 공정을 디지털 세계에 정밀하게 구현해 시뮬레이션하는 ‘디지털 트윈’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약개발의 복잡성과 제조 공정의 정밀성을 ‘가상공간’에서 해결하려는 시도다.
18일 본지 취
진원생명과학은 코로나19 DNA백신(GLS-5310)을 비강(IN) 및 피내(ID) 접종하면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 감염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연구 결과를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에 투고했다고 12일 밝혔다.
해당 논문의 제목은 '오미크론 확산 시기 동안 GLS-5310 DNA 백신의 비강(IN) 및 피내(ID) 접종을 통한 우발적 코로나(SARS-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의 신규 주제로 △감염병 치료제 △맞춤형 항암백신 △휴머노이드형 수술로봇이 선정됐다. 해당 분야를 주력 사업으로 하는 헬스케어 기업들이 자금 확보 기회를 얻을 가능성이 있어 어떤 기업 기대주로 부상할지 주목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지원 분야가 확대되면서 국내 기업들이 투자해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는 질병관리청이 주관하는 ‘우선순위 감염병 대유행 대비 신속개발기술 구축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로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개발을 진행하게 되며, SK바이오사이언스와 질병청은 초기 개발비 52억5000만원을 공동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이번 조류독감 백신개발은 차기 팬데믹 발생의
안재용 사장 “인류 보건 수호, 글로벌 기업 성장 동시에 이룰 것”
SK바이오사이어스가 정부와 협력해 조류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개발을 통한 감염병 대유행(넥스트 팬데믹)에 대응할 국가 방역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질병관리청이 주관하는 ‘우선순위 감염병 대유행 대비 신속개발기술 구축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SK바이오사이언스와 국제백신연구소(IVI)는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포시즌스호텔에서 백신업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제4회 박만훈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1일 SK바이오사이언스에 따르면 올해 박만훈상 수상자는 소아마비 백신 개발 연구 업적과 백신 접종률 개선을 위한 비영리 단체 운영 공로를 인정받은 4인이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신형 경구용 소아마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 대응을 위한 ‘윈도우10 기술지원 종료대응 종합상황실’을 23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10은 올해 10월 14일부터 기술지원이 종료될 예정으로 종료 시점부터 윈도우10 이용자는 그간 무료로 제공받은 신규 보안패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 이에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