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대윤 퓨쳐켐 대표는 “전립선암 치료제로 개발 중인 방사성 의약품(RPT) FC705가 2세대 전립선암 치료제가 될 것으로 자신한다. 노바티스의 플루빅토보다 훨씬 결과가 좋을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지 대표는 24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화학회 춘계 학술발표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FC705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퓨쳐켐은 이달
존슨앤드존슨 매출 888억 달러로 세계 1위릴리·노보 노디스크, 비만약 앞세워 급성장국내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4.5조로 1위
존슨앤드존슨(J&J)이 2024년 글로벌 제약사 매출 1위에 올랐다.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곳은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로 각각 전년 대비 32%, 26% 성장했다. 호주 제약사 CSL은 새롭게 20위 권에 진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빅파마들이 선제적으로 통 큰 투자를 감행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목적이 ‘리쇼어링(해외 생산 기지의 국내 복귀) 유도‘라는 점을 고려할 때 충분히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3일 제약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스위스 제약사 로슈는 미국 현지 생산과 연구개발(R&D)
국산 키메릭항원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가 등장할 수 있을지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이 선점한 세포치료제 시장에서 후발 주자인 국내 바이오기업들은 차별화한 강점 확보를 위해 적응증 확장에 나섰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세포치료제 개발 기업들이 최근 CAR-T 치료제 적응증을 넓히기 위해 추가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CAR-T
디지털 치료제의 등장으로 전통 제약사와 협업 증가약물과 디지털 치료제 병용, 디지털융합의약품 개발개인 맞춤형 치료 가능…“치료 효과 극대화 기대”
기존 약물과 디지털 치료제를 결합한 ‘디지털융합의약품’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업계는 디지털 치료제로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 약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꾸준한 관리
미국 정부가 14일(현지시간) 의약품과 반도체 등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만간 품목별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언급한 품목인 만큼 관세 부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15일 제약바이오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관보를 통해 반도체, 반도체 장비, 파
국내 방사성의약품 기업 듀켐바이오가 전립선암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플로투폴라스타트(18F)액(flotufolastat 18F)’에 대한 신약 품목허가 신청서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14일 밝혔다. 회사 측은 해당 제품이 미국 FDA 승인을 받은 PSMA 표적 방사성의약품으로는 처음으로 올여름 허가를 전망했다.
이를 통해 듀켐바이오는 치매 진단용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과 ESG 경영은 어느새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자리 잡았다.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ESG는 회사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지표다. 재무적 지표 외에 비재무적 리스크까지 점검하고자 하는 투자 관점까지 맞물리면서 ESG 경영의 중요도는 갈수록
한국노바티스는 3월 24일 ‘Lp(a) 인식의 날(Lp(a) Awareness Day)’을 맞아 심혈관 질환 발생의 위험인자인 리포지단백질(a)(Lp(a))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내 혈관 속 Lp(a) 찾기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Lp(a)는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지단백질의 일종으로, 심장마비나 뇌졸중 등의 심혈관 질환을
지난해 존슨앤드존슨(J&J)과 화이자, 브리스톨마이어스퀴브(BMS) 등 글로벌 빅파마의 인력 감축이 대규모로 이뤄졌다. 올해도 노바티스와 BMS 등 글로벌 빅파마의 정리 해고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25일 제약업계와 피어스 바이오텍(fierce biotech) 등 외신을 종합하면 지난해 글로벌 제약업계의 인력 감축은 전년 대비 3% 증가한 반면, 글로
키트루다보다 이보네시맙 무진행 생존기간 약 2배 높아화이자에서도 관심…중국 제약바이오산업 신뢰 증가
지난해 295억 달러(약 42조7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글로벌 의약품 매출 1위를 기록한 키트루다의 효능을 능가하는 신약이 조만간 선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제약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중국 제약회사 아케소(Akeso)가 이달 8일 의학 학
에스티팜이 올리고핵산치료제 원료의약품(API) 공급을 잇따라 체결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올리고핵산치료제가 희귀질환에서 만성질환으로 확대되고 있어 수요도 지속해서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향후 에스티팜의 경쟁력도 더욱 높아질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13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에스티팜은 이달 6일 유럽 글로벌 제약사와 2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항암 신약 후보물질 임상 연구에서 성과를 올리고 있다. 암 질환 치료 분야의 미충족 수요가 높은 만큼, 기업들은 파이프라인 연구개발(R&D)에 대한 투자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12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퓨쳐켐, 파로스아이바이오, 에이비온 등 R&D 중심의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항암 신약 연구에 속도를 붙이고 있다. 기
차세대 항암제 방사성의약품, 생산 한계로 원료 공급 부족 SK바이오팜, 해외 기업과 공급 계약…원료 수급 안전성↑‘전립선암 치료제 개발’ 셀비온‧퓨쳐켐, 원료 생산시설 구축
방사성의약품(RPT)이 차세대 항암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K바이오가 RPT 원료인 방사성동위원소 수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RPT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시설이 없어 주로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개발 중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 파이프라인이 상업화에 임박했다. CAR-T 치료제는 초고가 의약품이며 국내 환자들이 고려할 수 있는 선택지도 많지 않아, 후발 주자의 등장 가능성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1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 가운데 큐로셀과 앱클론이 CAR-T 치료제 상용화에 속도를
“올해 전립선암 치료제 임상 2상을 마치고, 조건부 품목허가를 신청해 내년 초 출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김권 셀비온 대표는 최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본지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방사성의약품은 차세대 항암제로 꼽히는 모달리티(치료 접근법)다. 암세포를 표적하는 리간드와 암세포를 사멸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이를 결합하는 링커로 구성돼 있다.
그동안 방
이엔셀은 바이오의약품 개발기업 셀레브레인(CELLeBRAIN)과 약 8억 원 규모의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공시했다.
이번 계약은 8억200만 원 규모이며 계약 기간은 2026년 3월 3일까지다. 계약 주요 사항은 비밀 유지 협약에 따라 공개되지 않는다.
이엔셀은 국내 세포유전자치료제(CGT) CDMO 분야 매출액과 점유율 기
다국적 제약기업들이 유방암 치료제에 새로운 적응증을 경쟁적으로 추가하고 있다. 투약 가능한 환자군이 넓어지면서 국내 유방암 환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치료 옵션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4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최근 트로델비(성분명 사시투주맙 고비테칸), 키스칼리(리보시클립), 엔허투(트라스트주맙 데룩스테칸) 등 다국적 제약기업들이 개발한 유방암 치료 신
KIAT,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자료 분석 보고서 발간세계 투자 상위 2000대 기업 중 국내 기업은 40개민병주 원장 "미래 유망 업종에 대한 전략적 투자 촉진해야"
글로벌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가 집중된 분야는 주로 제약, 생명공학,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분야는 전체 R&D 투자의 37.6%의 비중을 차지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