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쉴러 “세계 경제 불안, 나치 득세하던 때와 흡사”

입력 2014-09-14 13: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 블룸버그

현재의 세계 경제 상황이 나치가 득세하던 1937년과 매우 흡사하다고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쉴러 미국 예일대 교수가 경고했다.

쉴러 교수는 영국 신문 가디언 주말판 기명 기고에서 1929년 대공황이 발생하고 8년 후인 1937년 세계 경제가 더 나빠졌다면서 6000여만 명이 희생된 2차 대전을 겪고 엄청난 재원이 투입된 복구가 이뤄지고서야 경제가 어렵사리 회복했음을 상기시켰다.

그는 세계 경제가 복구된 시점에도 유럽과 아시아의 전쟁 참화는 여전했다고 강조했다.

쉴러는 지금의 세계 경제 상황이 그때만큼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특히 1937년과 너무도 흡사한 점이 많다면서 특히 상당수의 사람이 장기적으로 경제를 비관하는 점을 지적했다. 이러한 비관론이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지금의 우크라이나 사태를 예로 들었다. 쉴러는 국제통화기금(IMF) 집계를 인용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2002∼2007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각각 52%와 46% 증가하는 호조를 보였으나 지난해 기준으로 우크라이나는 1인당 실질 GDP가 0.2%, 러시아는 1.3% 각각 늘어나는데 그쳤다고 지적했다.

이런 경제적 절망감이 우크라이나 분리 세력을 자극하고 러시아의 크림 합병 등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쉴러는 분석했다. 그는 금융 위기 이후 심화한 이런 절망감이 비단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쉴러는 세계 최대 채권펀드인 핌코의 빌 그로스가 처음 사용한 ‘뉴 노멀(new normal)’이나 이보다 훨씬 먼저 나온 ‘장기 정체론(secular stagnation)’이란 새로운 경제학 용어들도 이런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쉴러는 장기 정체와 과소 소비가 결국 사회적 분노와 불관용, 그리고 폭력 가능성으로 이어진다면서 오늘날도 그런 조짐이 곳곳에 나타났다고 경고했다.

실러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말미암은 서방의 대(對) 러시아 제재도 지적하면서 이것이 문제를 풀기보다는 상황을 갈수록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어렵더라도 대화로 풀어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00,000
    • +0.34%
    • 이더리움
    • 5,303,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644,500
    • -0.08%
    • 리플
    • 724
    • -0.55%
    • 솔라나
    • 231,000
    • -1.03%
    • 에이다
    • 631
    • +0.48%
    • 이오스
    • 1,135
    • +0.09%
    • 트론
    • 160
    • +1.91%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50
    • -0.87%
    • 체인링크
    • 25,640
    • -1.27%
    • 샌드박스
    • 621
    • +2.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