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북, 4차 핵실험시 상상할수 없는 대가 치를것”

입력 2014-04-10 14: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10일 “북한이 4차 핵실험을 단행할 경우 상상할 수 없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새누리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협력’을 주제로 개최한 국제심포지엄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북핵 불용과 추가 핵실험에 대한 결연한 반대의지를 표시하는 등 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북핵 불용을 향해 한 치의 빈틈도 없이 단합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윤 장관은 “북핵과 북한문제의 불안정성과 유동성이 높아졌다. 북한의 비대칭 도발 양상이 다양화되고 있다”며 “한반도의 장래와 관련해 가장 큰 도전은 북한의 핵에 대한 집착”이라고 말했다. 또 “북한 지도부는 핵과 경제발전 병진노선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하고 공존과 고립의 갈림길에서 올바른 선택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반도 상황에 대해선 “봄의 따사함과 달리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환경은 온기보다 냉기가 느껴지고, 지정학적 지형도에도 기후변화 현상이 오지 않았나 한다”고 평했다. 이어 “동북아 상황은 정치안보적 갈등이 구조되는 역설적 현상, 즉 아시아 패러독스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며 “동북아 국가 간 갈등이 역사문제와 영토문제, 국수주의 등으로 확산하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고, 최근 우크라이나사태까지 겹치면서 일각에서는 ‘미니 냉전’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에 대해선 “역사 수정주의는 스스로 고립시킬 뿐 아니라 잘못된 교육을 통해 미래세대마저 불행하게 만든다”며 “이제 일본 지도자들이 고노 담화를 수정하지 않겠다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공개 약속을 성실히 지키면서 일관적이고 책임있는 언행을 보여주는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윤 장관은 “박근혜 대통령은 한반도 통일은 필연임을 강조했다”면서 “해뜨기 직전이 가장 어두운 순간이듯이 지금의 불확실성은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다가오고 있음을 역설적으로 말해주고 있는지도 모른다. 베를린 장벽은 저절로 무너진 것이 아니라 독일 국민의 통일 열망이 무너뜨린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조태용 외교부 1차관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현안 보고에서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유엔 안보리 차원의 강력한 추가 제재 조치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비트코인, 6만6000달러에서 관망세 계속…"내달 이더리움 ETF 거래 기대감↑"[Bit코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순위 21위…전년비 7계단 하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2:5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173,000
    • -0.59%
    • 이더리움
    • 5,034,000
    • -0.1%
    • 비트코인 캐시
    • 593,500
    • -2.55%
    • 리플
    • 685
    • -1.58%
    • 솔라나
    • 207,000
    • +1.27%
    • 에이다
    • 578
    • -0.86%
    • 이오스
    • 901
    • -3.22%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950
    • -2.72%
    • 체인링크
    • 20,820
    • +0.1%
    • 샌드박스
    • 522
    • -3.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