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구조조정 차질에 협력업체 ‘죽을 맛’

입력 2013-12-12 10: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외담대 상환유예 종료·매출채권보험 혜택도 극소수…유동성위기 가중 줄도산 우려

기업 구조조정 작업이 잇따라 차질을 빚으면서 협력기업 줄도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구조조정 기업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할 경우 협력기업 유동성 위기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이 협력기업 연쇄부실 방지를 위해 시행한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외담대·B2B대출)의 상환유예 기간은 이미 종료됐고, 매출채권보험 혜택 기업은 극소수에 그치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채권단 간 의견차로 기업 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협력기업의 부실화 및 부도 우려가 재부각되고 있다.

지난 6월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돌입한 쌍용건설은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출자전환 없는 3000억원 규모의 신규자금 지원을 정상화 방안으로 제시, 사실상 법정관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쌍용건설의 협력업체는 1400여개로 이들이 쌍용건설로부터 받아야 할 상사채권은 3000억원에 이른다. 또 워크아웃 개시 당시 606개 협력업체의 외담대 규모는 1130억원에 달하고 있다.

지난 7월 자율협약을 체결한 STX조선해양은 대규모 추가 부실이 드러나며 경영정상화에 빨간불이 켜졌다. 당초 지원 규모(2조7000억원)에다 1조8500억원을 추가로 지원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STX조선은 현재 완전 자본잠식 상태로 상장폐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STX조선의 자본총계는 3월 말(5444억원) 이후 마이너스(6571억원)로 전환, 9월 말 현재 마이너스 1조2091억원이다. 이에 전일 열린 채권단 회의에서 STX조선의 법정관리 논의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자율협약 당시 STX조선의 148개 협력업체는 918억원의 외담대를 받았다.

채권단간 의견차로 정상화 작업 진행이 더딘 성동·대선·SPP조선 등 구조조정 조선사의 협력업체도 수백개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구조조정 기업 협력업체의 외담대 상환유예 기간은 이미 종료된 만큼 신속한 기업정상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5월 대기업 워크아웃 및 자율협약 시 협력업체의 외담대 상환을 일정 기간 유예토록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 협력기업은 외담대를 갚아야 하는 상황으로 채권단 자금지원 계획에 따라 자금난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며 “하지만 법정관리 돌입 시 은행이 더 이상 융통성을 발휘할 수 없어 협력기업의 유동성 위기는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외담대 리스크를 보전해 주는 신용보증기금의 매출채권보험도 극소수만이 이용하고 있다. 올 12월 10일 현재 매출채권보험 실적은 12조9500억원으로 지난해 말(6조9320억원)보다 2배가량 급증했지만 전체 외담대 기업의 0.1% 정도만이 이 제도의 혜택을 보고 있다.

매출채권보험은 협력기업(판매업체)이 대기업(구매업체) 도산 등으로 판매대금을 받지 못할 경우 매출채권액의 최대 80%까지 보험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음주운전 걸리면 일단 도망쳐라?"…결국 '김호중 방지법'까지 등장 [이슈크래커]
  • 제주 북부에 호우경보…시간당 최고 50㎜ 장맛비에 도로 등 곳곳 침수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 [내부통제 태풍]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단독 낸드 차세대 시장 연다… 삼성전자, 하반기 9세대 탑재 SSD 신제품 출시
  • 손정의 ‘AI 대규모 투자’ 시사…日, AI 패권 위해 脫네이버 가속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945,000
    • +0.2%
    • 이더리움
    • 4,976,000
    • -0.28%
    • 비트코인 캐시
    • 550,500
    • +0.18%
    • 리플
    • 700
    • +0.86%
    • 솔라나
    • 190,000
    • -1.86%
    • 에이다
    • 544
    • -0.18%
    • 이오스
    • 811
    • +1.38%
    • 트론
    • 165
    • +0%
    • 스텔라루멘
    • 133
    • +1.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50
    • +1.13%
    • 체인링크
    • 20,380
    • +1.6%
    • 샌드박스
    • 468
    • +3.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