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법 시행 1년, 운영 실태 들여다보니…

입력 2013-11-15 14: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총 1200개 등록…평균 자산 4000만원, 급여 114~177만원에 불과

우리나라도 협동조합‘1000개 시대’를 맞았지만 여전히 영세성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자산은 4000만원에 불과했으며 임직원의 평균급여도 월 114만~177만원 수준에 그쳤다. 50대 이상 퇴직 남성 베이비부머들이 의욕적으로 뛰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정착 기반이나 정책적 지원이 취약하다는 얘기다.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선 공공 조달시장 우선권 부여와 금융시스템 구축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획재정부는 15일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1년(12월1일)을 앞두고 조합의 설립과 사업현황, 재무상황, 정책 활용 등에 대한 첫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협동조합기본법에 근거해 신고 수리·인가된 협동조합은 1209개였다. 평균 조합원수는 58.7명이며 1100명이 넘는 협동조합 7개를 제외하면 평균 조합원 수는 30.6명이었다.

1200여곳 협동조합 중 신생설립된 경우가 97.7%(730개)로 대부분이었으며 다른 법인에서 전환된 조합은 2.3%(9개)에 불과했다. 설립 준비기간은 약 2.6개월이었다.

7월 조사시점 당시 사업을 시작한 곳이 54.4%(406개)였으며 조합원을 주요 고객(35%)으로 둔 공동판매(51.4%)가 주된 수익 창출 방식이었다. 업종은 도소매(28.2%)이 가장 많았고 농·수·임업(14.2%), 제조업(9.1%) 순이었다.

이사장은 전문대졸 이상이 78.7%로 50대가 39.8%, 남성이 79.1%, 중소기업 출신이 26.9%로 각각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기재부는 50대 남성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퇴직 후 협동조합 사업에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봤다.

747개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한 결과, 협동조합당 평균자산은 약 4000만원, 평균자산 중 조합원이 낸 출자금은 3000만원 선이었다.

사업 시행 초기 협동조합의 목표 매출액은 평균 1억8641만원, 목표 이윤은 3991만원이었으나 올 1월~6월 2분기 동안 목표 달성도는 각각 26.6%, 15.5% 수준에 머문 것으로 조사돼 아직은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달성이 어려운 이유로 이사장들은 판로 미확보(29.3%), 정부지원 부족(18.2%), 조합원 부족(15.2%) 등을 꼽았다.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공공 조달시장 우선권 부여(31.5%), 금융시스템 구축(23.8%)을 제시하는 의견이 많아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정책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임금수준이나 근무조건도 열악했다. 임직원의 평균 급여는 평균 급여는 114만~177만원 수준이었다. 정규직 직원 10명 중 6명만이 4대 보험에 가입돼 있었고 이사장(13%), 상근이사(17%), 비정규직 직원(21%)의 가입률은 더 저조했다. 주당 40시간 이상 근무하는 상근직이 46.8%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고,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26.9시간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조사대상의 99.3%는 협동조합에 계속 참여할 것을 희망했다. 그 이유로 ‘좋은 사업목적’(56.5%), ‘밝은 사업전망’(26%) 등을 들었다. 협동조합에서 계속 근무하겠다는 피고용인도 97.5%로 높게 나타났다.

협동조합원의 주요 가입경로는 지인의 권유(49.9%)가 가장 많고 발기인 참여(15.9%), 사업설명회 참석(12.5%)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5월 기준 협동조합기본법에 근거해 신고·수리·인가된 1209개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이사장 747명, 조합원 609명, 피고용인 445명이 응답했다. 기재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국회 상임위에 보고하고 ‘협동좋바 기본계획(2014~2016년)’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292,000
    • +0.54%
    • 이더리움
    • 5,135,000
    • +1.58%
    • 비트코인 캐시
    • 606,500
    • -0.41%
    • 리플
    • 693
    • -0.72%
    • 솔라나
    • 212,800
    • +3.3%
    • 에이다
    • 589
    • +0.51%
    • 이오스
    • 927
    • -0.96%
    • 트론
    • 166
    • +1.84%
    • 스텔라루멘
    • 140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150
    • -0.78%
    • 체인링크
    • 21,390
    • +1.28%
    • 샌드박스
    • 543
    • -0.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