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유통비용 10% 줄인다…노량진수산시장에 관광 연계

입력 2013-07-10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종합대책’ 마련

정부가 수산물의 유통구조를 개선해 유통비용을 10% 가량 줄여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생산자단체 중심의 ‘4단계형 유통경로’를 새로 마련하고 노량진수산시장에 관광을 연계하는 등 도매시장 운영도 개선하기로 했다. 수산물의 위생과 품질에 대한 관리도 강화한다.

정부는 10일 수출입은행에서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종합대책’을 논의했다. △낙후된 유통시설과 높은 유통비용 △열악한 위생·물류환경 △가격 불안정성 등 3대 과제를 해결한다는 취지다.

연근해산 수산물의 경우 생산자단체 중심으로 산지거점유통센터(FPC)-소비자분산물류센터-소매상-소비자에 이르는 ‘4단계형 유통경로’를 만들어 유통비용을 낮춘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25개의 산지유통센터를 확충하기로 하고 관련 예산을 협의해 가기로 했다.

양식산 수산물의 경우 활어 전문물류센터 등 새로운 거래환경을 만들어 기존의 장외시장·도매시장과 경쟁을 촉진한다. 원양산 수산물의 경우 도매시장 반입물량을 들리는 등 다양한 가격결정 시스템을 마련해 가격인하를 유도하고 소비를 촉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 같은 유통구조 개선으로 현재의 높은 유통비용을 약 10% 가량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예를 들어 올해 소비자가격이 마리당 2800원 수준인 고등어의 경우 전체 비용에서 유통비용이 52%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약 150원의 가격인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매시장은 거래제도를 개선하고 시설도 현대화한다. 가격변동성을 높이는 원인이 되는 경매방식 대신 정가·수의매매 제도를 확대한다. 노량진수산시장을 현대화해 관광을 연계한 복합 공간으로 조성하는 등 전국의 수산물 도매시장의 기능을 재정비한다.

정부 관계자는 “전체 예산 시범사업을 토대로 노량진을 잘 꾸며서 잘 되면 전국에 (유사한 도매시장을) 거점별로 설치할 예정”이라며 “이를 위한 재원은 1조2000억원 정도이며 방식은 시범사업을 토대로 전국에 몇 개가 필요한지 구체적 용역을 통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직거래를 늘리기 위해 지역특산물과 연계한 ‘로컬푸드형 직매장’을 늘리고 사이버 직매장을 만드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직거래 참여단체에 운영자금을 지원하거나 수산물 직거래 촉진센터를 설치하는 등의 지원시스템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수산물의 위생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추진한다. 원산지 표시 단속을 한층 강화하고 수산물 이력제 참여업체의 수는 4427개에서 5200개로 늘린다. 굴·미역 등 이력제 등록 품목도 현재의 20개 품목에 매년 1개 품목씩 추가해 나가기로 했다.

물가의 안정을 위해 고등어, 갈치 등 주요 어종의 정부 비축물량을 오는 2017년까지 현재의 2배(1만4000톤→2만8000톤)으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현재 약 10%인 주요 어종의 가격별동률을 7.5% 수준으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가격 관측대상 수산물 품목도 11개에서 20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방탄소년단 진 전역 D-1, 소속사의 당부 인사 "방문 삼가달라"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최강야구' 모닥불러 유희관·파이어볼러 니퍼트 등판에 당황한 대구고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76,000
    • -2.46%
    • 이더리움
    • 4,970,000
    • -3.4%
    • 비트코인 캐시
    • 635,500
    • -2.31%
    • 리플
    • 681
    • -2.01%
    • 솔라나
    • 215,600
    • -3.36%
    • 에이다
    • 604
    • -1.63%
    • 이오스
    • 970
    • -1.32%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8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850
    • -6.04%
    • 체인링크
    • 21,780
    • -2.42%
    • 샌드박스
    • 565
    • -2.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