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혁신역량 강화 위해 인력확보 갖춰져야”

입력 2012-08-24 11: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견기업의 성장을 위해 인력확보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문승욱 지식경제부 중견기업정책관(사진)은 24일 서울 힐튼호텔에서 열린 제155회 중견기업 CEO 조찬강연회에서 중견기업의 성장 해결 과제를 제시하며 우수 인재 유치 및 확보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문 정책관은 “중견기업에서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단계별 성장 걸림돌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며 “고급인력 수요는 더욱 증가하나 중견기업에 대한 청년층·국민의 인식은 개선되지 않아 취업기피·조기이직 등 인재 수급난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조사한 취업준비생들의 기업 선호도를 살펴보면 대기업 30.8%, 중견기업 10.3%, 중소기업 7.2%로 각각 집계됐다.

이에 인력난은 중견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주요인으로 자리잡았다. 중소기업연합회가 지난 5월 21일부터 6월 8일까지 총 509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성장 애로요인 및 대응방향을 조사한 결과 ‘전문인력 확보’가 38.1%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조세혜택 감소’(37.3%), ‘자금 조달’(31.4%), ‘하도급 등 보호장치 배제’(23.2%), ‘해외시장·판로개척’(20.6%), ‘기술경쟁력 부족’(19.1%) 순으로 나타났다.

문 정책관은 “중견기업 포털 내에 연봉, 근무환경, 복지후생 등 중견기업 취업정보를 제공하는 ‘중견기업 알리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청년층 문화에 맞게 공단 진입로, 공장·사무실 외부경관, 주변 환경 등을 개선하고 복지·편의시설을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문 정책관은 1년차 중견기업 근로자 62%가 이직하지만 5년차 이상이면 이직률이 6%대로 감소한다는 점을 예로 들며 장기근속, 사기진작 등을 위한 장기 재직자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과 연구인력이 5년 이상 장기근로를 조건으로 동일 금액을 매칭·적립하는 금융상품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며 “5년 이상 재직키로 한 핵심 연구개발 인력을 ‘차세대 리딩 엔지니어’(가칭)로 지정하고 추가적인 인센티브 부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이날 중견기업연합회가 운영하는 자체 카페 ‘생각나’(생각을 바꾸면 나도 직장인. http://생각나.com)회원으로 중견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28명의 취업 준비생들도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이밖에 문 정책관은 중견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R&D 투자 대폭 확대 △시스템 경영 확산 △글로벌화 지원 시스템 확충 등이 갖춰져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제156회 조찬 강연회는 다음달 21일로 예정됐다. 이날엔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이 중견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하도급법 개정 방향과 하도급관련 정부정책 추진 방향에 대해 강연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12,000
    • +0.18%
    • 이더리움
    • 5,324,000
    • +0.76%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1.41%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2,400
    • -0.47%
    • 에이다
    • 633
    • +1.28%
    • 이오스
    • 1,137
    • +0.35%
    • 트론
    • 157
    • +1.29%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81%
    • 체인링크
    • 25,790
    • +0.59%
    • 샌드박스
    • 628
    • +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