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엑스앤브이엑스 “경구용 비만치료제, 글로벌 빅파마들과 기술이전 협상 중”

입력 2025-06-23 14: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쟁 물질 대비 유의미한 우수 효력 시험 결과 확보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개발 중인 경구용 비만치료제(Oral GLP-1 Receptor Agonist)의 우수한 전임상 효력 결과를 근거로 글로벌 빅파마들과 기술이전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회사는 경구용 비만치료제에 대해 유망한 예비 후보물질을 선정하고, 정규 GLP 독성시험 준비도 착수한다. 이번 글로벌 빅파마들과의 협상과 정규 독성 시험 진입 결정은 동물 실험을 통해 도출된 약효 및 약동력학 결과를 기반으로 이뤄졌으며, 내년 상반기 임상 진입을 목표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경구용 치료제는 기존 주사제 형태의 펩타이드 기반 비만 치료제와는 달리 저분자 유기합성 화합물(small molecule)로 개발되고 있는 차세대 후보 물질이다. 복용 편의성을 높인 1일 1회 경구제 형태를 지향하고 있다.

경구용 GLP-1 계열은 높은 기술 장벽으로 인해 일부 글로벌 제약사를 제외하고는 개발 성공 사례가 드문 상황이다. 현재까지 임상 3상에 진입한 후보물질은 오포글리프론(Orfoglipron)이 대표적이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인공지능 기반 신약설계 기법을 활용하여 약 1.5년 만에 유망 후보 물질을 도출했다. 해당 물질은 화학 구조상 오포글리프론과 유사 계열로 분류되지만 독창적인 구조적 특성을 갖는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현재까지 3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최근 진행한 동물시험에서 해당 후보물질은 약동력학(PK) 특성, 포도당 저항 시험(IPGTT), 사료 섭취량, 인슐린 분비 효능 등 여러 지표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보했다. 특히 약동력학적 안정성과 인슐린 분비 유도에서 경쟁 약물 대비 우수한 데이터를 확보한, 향후 추가 시험을 통해 계열 내 경쟁력을 보다 정밀하게 검증할 예정이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이 후보물질을 기반으로 정규 독성시험(GLP toxicology) 및 대량 생산 공정 확립에 착수했으며,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개발 일정을 준비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정규 독성시험과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면밀히 검증해 나갈 예정이며, 라이선스 아웃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대형 제약사들과 현재 텀시트 협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글로벌 빅파마들과도 기술자료 공유 및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용역ㆍ강사비ㆍ겸직 '제멋대로'…자본시장연구원 내부통제 ‘구멍’
  • [날씨] 찜통 넘어 '압력밥솥' 더위…서울ㆍ대전ㆍ광주 체감온도 35도 육박
  • 오늘은 유두절, 다소 생소한 유두절 뜻은?
  • SK쉴더스 민기식號, 경영 키워드 '인재'⋯분할매각ㆍ구조조정 '일축'
  • 주담대 누르니 '마통' 급증⋯한 달 새 4687억 늘었다
  • '연15% 수익률' 국민연금, '금융·증권·지주' 투자비중 늘렸다
  • 40도 찍은 한반도, 극한 폭염 원인은?
  • 尹 전 대통령 재구속 기로⋯“공수처 수사권 쟁점” vs “증거인멸 우려 있어”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12: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010,000
    • +0.32%
    • 이더리움
    • 3,546,000
    • +2.28%
    • 비트코인 캐시
    • 690,000
    • +1.69%
    • 리플
    • 3,145
    • +1.68%
    • 솔라나
    • 206,900
    • +1.72%
    • 에이다
    • 798
    • +1.27%
    • 트론
    • 393
    • +0.26%
    • 스텔라루멘
    • 356
    • +5.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620
    • -1.15%
    • 체인링크
    • 18,920
    • +4.47%
    • 샌드박스
    • 338
    • +2.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