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척돔에도 다회용기 사용 도입…스포츠 관람도 ‘친환경’

입력 2025-06-23 11: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시, 잠실 이어 고척돔에 다회용기 사용 도입
지난달부터 다회용기 및 반납함 구비해 운영 중

▲다회용기 반납하는 장면. (사진제공=서울시)
▲다회용기 반납하는 장면. (사진제공=서울시)

야구팬들이 즐겨 찾는 고척스카이돔(고척돔) 내 15개 식음료 매장에 서울색을 적용한 다회용기가 도입된다. 지난해 전국 최초로 잠실야구장에 다회용기 사용이 시행된 데 이어 이번 시즌 서울 소재 야구장에서만 약 28톤(t)의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이 기대된다.

서울시는 24일 오후 6시 고척스카이돔 다이아몬드라운지에서 서울 연고 구단(두산베어스‧키움히어로즈‧LG스포츠)을 비롯해 아람코 코리아‧서울지역자활센터협회‧아모제푸드’와 ‘프로야구장 다회용기 운영 업무 협약식’을 갖는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다회용기 도입을 위한 행정적 지원과 홍보를 맡게 되며, 아람코 코리아는 다회용기 제작과 세척․물류비를 지원하고 구단은 자체 채널을 통해 다회용기 사용 및 반납 등을 홍보한다. 키움 히어로즈와 아모제푸드는 식음료 매장 다회용기 활용을 지원한다.

시는 지난달 말부터 고척스카이돔 내 15개 식음료 매장에 컵․그릇 등 4종류의 다회용기를 구비, 시민 반납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장 곳곳에 반납함 총 24개(내야 16개, 외야 8개)도 비치했다.

사용된 다회용기는 서울지역 자활센터에서 수거, 세척을 거치게 되는데 세척된 용기는 일반적인 민간위생 기준(200RLU)보다 10배 엄격한 20RLU 이하로 유지하도록 주기적인 위생검사가 진행된다.

앞서 지난해 다회용기를 도입한 잠실야구장의 지난해 시즌 동안 관중은 24% 증가한 반면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율은 9%에 그쳤다. 또한 해당 기간 중 다회용기 60만 건이 이용돼 약 17t의 플라스틱 폐기물 감량 성과를 거두면서 고척돔에도 다회용기를 도입키로 했다.

시는 이번 다회용기 사용 협약을 통해 프로야구 시즌(3~10월)동안 잠실야구장․고척돔에서 약 100만 건의 다회용기 사용으로 플라스틱 폐기물 약 28t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환경부‧한국환경공단 등에 따르면 야구장은 스포츠시설 중 관람객 한 명당 폐기물 배출량 1위(1인당 폐기물 발생량 7.95그램/일)로, 2021년 기준 전국 야구장에서 총 3444t의 폐기물이 발생했다.

한편 서울시는 프로야구장의 성공적인 다회용기 도입을 통해 생활 속 다회용기에 대한 인지도와 친숙도를 높여 타 체육시설 등으로 확산, 시민참여 일회용품 줄이기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김태균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서울 연고 구단의 홈구장인 고척스카이돔과 잠실야구장 다회용기 도입은 생활 속에서 지속가능한 미래와 환경 보호를 실천하는 대표적 사례인 만큼 앞으로 제도를 안정적으로 정착시켜 나갈 것”이라며 “서울이 친환경적 스포츠 관람문화를 선도하는 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친환경 정책을 지속 발굴, 펼쳐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전국 대체로 흐리고 곳곳에 비…예상 강수량 '최고 150mm 이상'
  • 야닉 시너 윔블던 우승, 알카라스에 설욕
  • 지주사·가상자산 등 이재명·정책 테마 관련주 강세 [상반기 이 종목]
  • ‘고용 불안의 도시’가 된 실리콘밸리…근로자들, 극한 스트레스
  • 단독 메리츠화재, 8월 예정이율 전략회의⋯보험료 인상 눈치싸움
  • 조선대병원 수술실 화재 발생…환자 5명 연기 흡입·40명 긴급 대피
  • “코스피, 단기조정 여지 있지만…리레이팅은 계속된다” [하반기 이 업종]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15:1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6,102,000
    • +3.68%
    • 이더리움
    • 4,124,000
    • +2.64%
    • 비트코인 캐시
    • 695,500
    • +1.09%
    • 리플
    • 3,954
    • +4.49%
    • 솔라나
    • 226,000
    • +2.87%
    • 에이다
    • 1,021
    • +3.13%
    • 트론
    • 412
    • +0.73%
    • 스텔라루멘
    • 646
    • +9.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630
    • +2.98%
    • 체인링크
    • 21,830
    • +5.61%
    • 샌드박스
    • 439
    • +1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