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 “미 이란 핵 시설 공격 후 원전 외부 방사능 수치 상승하지 않아”

입력 2025-06-23 07: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포르도 지하 시설 내부 손상 판단하기엔 아직 일러"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미국이 이란의 핵 시설을 공격한 다음날인 22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 회의에서 화상 통화로 연설하고 있다. 뉴욕/EPA연합뉴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미국이 이란의 핵 시설을 공격한 다음날인 22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 회의에서 화상 통화로 연설하고 있다. 뉴욕/EPA연합뉴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22일(현지시간) 미국의 이란 핵시설 3곳 공격에 대한 피해에 대해 원전에서 외부로 방사능 누출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더힐ㆍCNN에 따르면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날 뉴욕에서 이란의 요청으로 소집된 긴급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 브리핑에서 이란 핵 시설 상황에 대해 브리핑을 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미국이 이란을 공격한 이후 원전 외부의 방사능 수치가 상승하지 않았다고 이란이 통보했다”면서 “현재로서는 공격 목표 지역 외부의 사람이나 환경에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란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며 추가 정부가 입수되는 대로 추가 업데이트해 제공하겠다”고 언급했다.

미국은 전날 이란 핵 시설을 전격 공습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포르도ㆍ나탄즈ㆍ이스파한 등 이란의 3개 핵 시설에 대한 매우 성공적인 공격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댄 케인 미 합참의장은 미군 B-2 폭격기 7대가 전날 작전에서 일명 ‘벙커버스터’로 불리는 1만3600㎏짜리 공중투하용 초대형 관통 폭탄(MOP) ‘GBU-57’ 14발을 투하했다고 추가 설명했다. 또 순항미사일, 잠수함 등도 공격에 동원됐다.

포르도는 이란에서 가장 중요한 핵 농축 시설이 있는 곳이다. 외부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산 속 깊은 곳에 묻혀 있다. 특히 본관은 지하 80~90m 깊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CNN이 위성 사진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공습으로 포르도 지역에 최소 6개의 큰 분화구가 생겼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CNN에 “포르도에 직접적인 운동에너지 충격이 있었지만 지하 시설 내부에 손상이 있었는지는 판단하기 이르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물론 그곳에 상당한 피해가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추정했다.

미 싱크탱크 국제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의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소장은 CNN 위성사진을 본 후 “핵 농축 시설과 농축을 지원하는 인근 시설에 상당한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지하 홀이 완전히 파괴됐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피해 규모를 완전히 평가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탄즈는 이란 최대의 핵 농축 시설이 위치한 곳으로, 13일 이스라엘이 이란을 처음으로 공격을 단행할 때 표적이 됐다. 이 시설에는 지상에 6개의 건물과 지하에 3개의 구조물이 있으며, 이 구조물들에는 우라늄을 핵 연료로 전환하는 핵 농축의 핵심 기술인 원심분리기가 설치돼 있다.

이스라엘의 초기 공격으로 지상 시설들이 손상됐고, IAEA는 해당 시설의 전력 인프라가 파괴됐다고 발표했었다. 이스라엘의 공격이 지하 시설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IAEA는 지하 원심분리기 설비 구역의 전력 손실로 인해 그곳의 원심분리기가 손상되었을 수도 있다고 알렸다.

CNN의 위성 사진 분석 결과 나탄즈에는 이번 미국의 공격으로 두 개의 새로운 분화구가 생겼다. 포르도와 마찬가지로 현재로선 해당 현장의 지하 피해 규모는 불분명하다는 관측이다.

이란 중부에 위치한 이스파한은 이란 최대의 핵 연구 단지가 있는 곳이다. 싱크탱크 핵위협방지구상(NTI)은 이 시설은 중국의 지원으로 건설돼 1984년에 개소했다고 설명했다. NTI는 또 약 3000명의 과학자들이 이스파한에서 근무 중이며, 이곳이 ‘이란 핵 프로그램의 중심’으로 의심받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의 공습 이후 최소 18개의 건물이 완전히 파괴됐거나 부분적으로 파괴된 것으로 위성 사진 분석을 통해 확인됐다고 CNN은 보도했다. 공습으로 인해 발생한 잔해로 인해 해당 지역은 눈에 띄게 그을려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파죽지세’ 비트코인, 12만3000달러도 넘어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단독 100만명 돌파한 ‘GS25 도어투 성수’, 2년 8개월 만에 ‘폐점’
  • 유통가, 15일 자정 ‘갤럭시 Z 플립7ㆍ폴드7’ 일제히 사전예약...어디서 사야 최대 혜택?
  • 이 대통령, 반려견 '바비' 소개…"자꾸 아내한테만 가서 서운"
  • "눈 떠보니 내가 여주인공?!"…요즘 공연 영화, 이렇게 변신했다 [엔터로그]
  • 자영업자 10명 중 3명은 최저임금도 못 번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4,207,000
    • +1.81%
    • 이더리움
    • 4,120,000
    • +1.93%
    • 비트코인 캐시
    • 690,500
    • +0.07%
    • 리플
    • 4,024
    • +5.34%
    • 솔라나
    • 222,300
    • +1.51%
    • 에이다
    • 1,007
    • +0.8%
    • 트론
    • 413
    • +0.49%
    • 스텔라루멘
    • 621
    • -2.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120
    • +0.87%
    • 체인링크
    • 21,580
    • +1.51%
    • 샌드박스
    • 421
    • -1.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