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 소비쿠폰에 내수 활성화 기대…유통가 ‘사용처 확대’ 촉각

입력 2025-06-22 1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형마트ㆍ백화점 등 사용처 미포함 예상

편의점ㆍ가전 양판점 등 '추경' 수혜 관측
“경기 부양 목적⋯전반적 소비 회복 기대”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의 모습. (사진제공=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의 모습. (사진제공=연합뉴스)

새 정부가 국민 1인당 15만~50만 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예고한 가운데 유통업계가 사용처를 둘러싸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계엄령과 각종 사건사고 등으로 암울한 대목을 맞았던 소비재 기업들이 간만에 경기 부양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다. 아직 세부 사용처는 발표되지 않았으나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긴급재난지원금과 유사하게 대형마트, 백화점 등은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유통가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최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 30조5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발표함에 따라 내수 활성화가 기대된다.

유통기업 대다수는 경기 부진과 고물가 여파로 매출 개선세가 주춤한 상태다. 특히 대형마트와 같은 오프라인 업체의 하향세는 더욱 가파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국내 오프라인 업체들은 올 1월 전년 대비 매출이 8.8% 증가했으나 △2월 7.7% △3월 0.2% △4월 1.9%로 3개월 연속 역성장을 이어갔다.

정부가 발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안을 보면 1인당 소득 수준별로 15만~50만 원이 지역사랑상품권과 선불카드, 신용·체크카드를 통해 지급된다. 그러나 대기업의 경우 수혜 대상에서 제외될 여지가 높다. 과거 코로나19 지원금 지급 당시에도 대형마트나 백화점, 대형 프랜차이즈, 온라인 채널 등에서는 지원금 사용이 불가능했다. 다만 외식 프랜차이즈ㆍ편의점의 경우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매출액 30억 원 이하)에 한해 사용이 가능했던 만큼 이번에도 비슷한 조건을 적용될 여지가 있다.

이때문에 정부 추경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는 대표적인 업종으로 편의점이 꼽힌다. 실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재난지원금이 처음 풀렸던 2020년 5월 13일 국내 주요 편의점의 생활필수품 매출이 급등한 바 있다. 당시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CU는 아이스드링크, 얼음, 아이스크림 매출이 전일 대비 20%가량 뛰었고, 세븐일레븐도 남성화장품(72.9%), 기저귀(35.8%) 등 매출이 상승했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25의 지역화폐 사용액도 재난지원금 지급 전인 3월과 비교해 △4월 102% △5월 214% △6월 169% 늘었다.

롯데하이마트, 전자랜드 등 가전 양판점의 매출 개선도 기대된다.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함께 정부가 고효율 가전기기 구매비용의 10%(30만 원 한도)를 환급해 주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어서다.

시장에서는 이번 추경이 대형마트, 백화점 등에 미치는 직접적인 수혜는 제한적이지나 전반적인 소비심리 회복으로 간접 효과는 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조상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추경은 온전히 소비 진작과 경기 부양이 목적으로 유통 업종 전반의 수혜가 예상된다”며 “2020년에도 재난지원금 사용처에서 백화점은 제외됐지만, 전반적인 소비 회복으로 성장률이 반등했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전국 대체로 흐리고 곳곳에 비…예상 강수량 '최고 150mm 이상'
  • 야닉 시너 윔블던 우승, 알카라스에 설욕
  • 지주사·가상자산 등 이재명·정책 테마 관련주 강세 [상반기 이 종목]
  • ‘고용 불안의 도시’가 된 실리콘밸리…근로자들, 극한 스트레스
  • 단독 메리츠화재, 8월 예정이율 전략회의⋯보험료 인상 눈치싸움
  • 조선대병원 수술실 화재 발생…환자 5명 연기 흡입·40명 긴급 대피
  • “코스피, 단기조정 여지 있지만…리레이팅은 계속된다” [하반기 이 업종]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14:4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6,200,000
    • +3.78%
    • 이더리움
    • 4,134,000
    • +2.89%
    • 비트코인 캐시
    • 702,000
    • +1.89%
    • 리플
    • 4,031
    • +6.58%
    • 솔라나
    • 227,500
    • +3.36%
    • 에이다
    • 1,038
    • +5.06%
    • 트론
    • 412
    • +0.49%
    • 스텔라루멘
    • 668
    • +11.8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890
    • +2.93%
    • 체인링크
    • 21,970
    • +6.39%
    • 샌드박스
    • 447
    • +12.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