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코스피 삼천피' 기대감 아닌 체질·구조로 만들어야

입력 2025-06-23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가 3년여 만에 3000선을 회복했다. 외국인 매수세가 시장을 견인했고, 글로벌 관세 리스크 완화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도 상승에 힘을 보탰다. 새 정부가 동력을 건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도 반영됐다. 지수 3000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국내 주식시장이 다시 글로벌 자금을 끌어들일 수 있는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는 신호다. 의미 있는 회복이지만, 지금 시장에 필요한 것은 환호보다 그 흐름이 지속 가능한지에 대한 냉정한 판단이다.

이번 상승장은 전반적으로 ‘기대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정부는 상법 개정, 배당소득 분리과세, 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다양한 개편안을 내놓았지만, 대부분은 아직 시행되지 않았다. 정책이 실질적으로 작동하기 전까지는 지금의 주가 수준을 성과로 평가하긴 어렵다. 한 달 뒤 발표될 2분기 기업 실적 전망 역시 마찬가지다. 수익성 개선보다는 기대감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실제로 기업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따라오지 않는다면, 코스피는 다시 조정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번 3000 돌파는 또 한 번의 기대로 만든 착시로 기록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기대의 선반영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2021년 코스피가 3300을 넘었을 때도 유사한 흐름이었다. 풍부한 유동성과 실적 기대가 지수를 끌어올렸지만, 이후 고강도 긴축과 기업 실적 둔화가 이어지며 상승분을 고스란히 반납했다. 시장에는 ‘코스피 3000은 허상이었다’는 회의감만 남았다. 실체 없는 낙관은 지난 3년간의 조정으로 이어졌고, 시장 신뢰도 함께 훼손됐다.

코스피 3000을 ‘회복’이 아닌 ‘안착’으로 만들기 위해선 시장 구조 자체가 바뀌어야 한다.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여전히 폐쇄적인 한국 자본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외국인의 자금 유입은 일시적 흐름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기업의 역할도 중요하다. 정부가 밸류업(가치 제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지만, 이를 이행하는 기업은 드물다. 자사주 매입이나 배당 확대 등 실질적인 주주친화 정책이 수반되지 않으면, 밸류업은 구호에 그칠 뿐이다. 이미 일부 기업은 보여주기 식 발표만 하고 밸류업 실행에 미온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시장은 기대감만으로는 지속될 수 없다. 결국, 필요한 것은 ‘말’이 아니라 ‘실행’, ‘기대’가 아니라 ‘구조’다. 코스피 3000은 의미 있는 분기점이지만, 단기적 숫자 회복에 안주해선 안 된다. 지수가 올라선 뒤에도 안착하려면 제도와 정책, 기업 행동이 함께 뒷받침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3000은 다시 단기 고점으로 전락할 것이다. 코스피가 구조적으로 3000을 넘어설 수 있는 시장인지, 아니면 또다시 기대감만으로 무리한 평가를 받는 시장이 될 것인지를 가늠할 시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규모 총파업·관세 폭탄…韓 제조업 뿌리가 흔들린다
  • "주 4.5일제, 중소제조업에겐 '그림의 떡'…생산성·인건비 부담"
  • 폐기 관측 깨고 통합 '에이전트'로…삼성 AI, 이렇게 진화했다
  • 홍명보호, 한일전 패배…동아시안컵 우승 헌납
  • "경영권 방어 방패 사라진다"… 자사주 많을수록 큰 타격
  • 범접, '스우파3' 충격 탈락
  • ‘BBB 플랫폼’ 각축전…치매·파킨슨병 신약 열쇠 쥔 기업 어디
  • ‘트리플 역세권’ 잠실 르엘…대출 규제에 열기는 한 김 식어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849,000
    • -1.98%
    • 이더리움
    • 4,272,000
    • +3.74%
    • 비트코인 캐시
    • 679,000
    • -1.74%
    • 리플
    • 3,987
    • -0.92%
    • 솔라나
    • 224,000
    • +0.99%
    • 에이다
    • 1,017
    • +1.6%
    • 트론
    • 410
    • -0.97%
    • 스텔라루멘
    • 617
    • -0.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700
    • +1.33%
    • 체인링크
    • 21,920
    • +1.72%
    • 샌드박스
    • 428
    • +2.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