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이란 공격 계획 이미 승인…최종 명령은 보류

입력 2025-06-19 08: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란 핵 개발 프로그램 포기 여부 보려 해
“상황 계속 변해…기한 1초 전 결정 선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이란 공격과 관련해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밤 대이란 공격 계획을 이미 승인했지만 이란 정부가 핵 개발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최종 명령을 보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 본인도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은 있지만 최종 결정은 아직”이라며 “나는 기한 1초 전에 결정을 내리는 것을 선호한다. 왜냐하면 상황이 변하기 때문이고, 전쟁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정권이 무너질 수 있냐는 물음에 “물론. 어떠한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어 “이란은 핵무기를 가질 수 없다고 오랫동안 말해왔다. 그들이 핵무기를 갖기까지 수주밖에 남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며 “그들은 핵 협상 합의문에 서명했어야 했다. 난 그들이 ‘서명했었더라면’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라 본다”고 덧붙였다.

관계자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6일째 접어든 이스라엘과 이란의 분쟁에 개입할 가능성을 내비침으로써 이란 정부가 요구를 받아들이게 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여러 선택지가 검토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작전을 계속 주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의 공격 계획이 진행 중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적 해결을 원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실행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조건 없는 항복 요구를 반복했다. 또 “다음 주는 매우 중요한 한 주가 될 것이며, 일주일도 걸리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란 정부는 군사적 위협 하에서 협상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공격을 받으면 보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란의 유엔 대표부는 “이란은 협박 아래서는 협상하지 않으며 협박 하의 평화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며 “특히 존재감을 유지하려는 호전주의자와는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용역ㆍ강사비ㆍ겸직 '제멋대로'…자본시장연구원 내부통제 ‘구멍’
  • [날씨] 찜통 넘어 '압력밥솥' 더위…서울ㆍ대전ㆍ광주 체감온도 35도 육박
  • 오늘은 유두절, 다소 생소한 유두절 뜻은?
  • SK쉴더스 민기식號, 경영 키워드 '인재'⋯분할매각ㆍ구조조정 '일축'
  • 주담대 누르니 '마통' 급증⋯한 달 새 4687억 늘었다
  • '연15% 수익률' 국민연금, '금융·증권·지주' 투자비중 늘렸다
  • 40도 찍은 한반도, 극한 폭염 원인은?
  • 尹 전 대통령 재구속 기로⋯“공수처 수사권 쟁점” vs “증거인멸 우려 있어”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11: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270,000
    • +0.54%
    • 이더리움
    • 3,553,000
    • +2.63%
    • 비트코인 캐시
    • 687,000
    • +1.4%
    • 리플
    • 3,152
    • +2.27%
    • 솔라나
    • 207,000
    • +2.02%
    • 에이다
    • 803
    • +2.03%
    • 트론
    • 393
    • +0%
    • 스텔라루멘
    • 356
    • +5.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550
    • -1.47%
    • 체인링크
    • 18,960
    • +4.75%
    • 샌드박스
    • 339
    • +3.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