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위, 공식 출범...이한주 "정부조직개편TF 가동"

입력 2025-06-16 11: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과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 등 참석자들이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 현판식에서 현판 제막을 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위에서는 100대 국정과제를 정리하고 과제별로 추진 시점과 목표 등을 정해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2025.6.16 [공동취재]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과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 등 참석자들이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 현판식에서 현판 제막을 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위에서는 100대 국정과제를 정리하고 과제별로 추진 시점과 목표 등을 정해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2025.6.16 [공동취재]

이재명 정부 5년의 국정 운영 청사진을 그릴 국정기획위원회가 16일 공식 출범했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은 "정부조직개편안은 별도의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완성도 높은 안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1차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새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과 국정과제를 신속하게 수립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는 국정기획위 현판식과 임명장 수여식에 이어서 열렸다.

정부조직개편안은 과도하게 집중된 기능과 권한은 과감히 분산·재배치하고, 인공지능(AI) 3대 강국 대도약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정부 효율성을 강화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조직 정비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조로 재설계하는 것이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위원장은 "중장기 조세·재정개혁안 등 우리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개혁 아젠다들을 논의하고 구체적 해답을 제시하도록 노력하겠다"며 "과업 수행 시 속도감과 완성도를 중시하면서, 위원회 활동에 진력을 다해 달라"고 재차 당부했다.

국정기획위는 앞으로 이재명 정부 5년의 국정운영 청사진을 제시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한 새 정부의 인수위 역할을 사실상 대신하게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도파민 터지지만, 피로감도↑…'이혼 예능' 이대로 괜찮을까 [데이터클립]
  • 여름철에 돌아온 액션 추리 프랜차이즈…'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시네마천국]
  • 세계 경제, ‘혼란의 시대’에도 연 3%대 성장 이어와⋯그 이유는
  • “선점하니 프리미엄”…신도시 첫 분양 단지, 시세차익 ‘더 유리’
  • 주말에도 물폭탄…당국 '비상모드'
  • “보증서 없이 600억 대출”…서울보증 전산 마비 사태로 드러난 '민낯'
  • 삼계탕 ‘2만원’ 시대...초복 '가성비 보양식' 경쟁 나선 유통가
  • 금산에서 삼계탕 잔치…울산서 바다 페스티벌도 열려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558,000
    • +0.57%
    • 이더리움
    • 4,866,000
    • -0.98%
    • 비트코인 캐시
    • 693,000
    • -1.56%
    • 리플
    • 4,694
    • +0%
    • 솔라나
    • 242,400
    • -0.45%
    • 에이다
    • 1,130
    • +0.09%
    • 트론
    • 438
    • -1.79%
    • 스텔라루멘
    • 636
    • -1.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540
    • +3.49%
    • 체인링크
    • 24,800
    • +0.85%
    • 샌드박스
    • 441
    • -2.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