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은 지도부 체제를 두고 내홍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6일 국민의힘에선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거취를 놓고 알력 다툼이 시작됐다는 말이 나왔다. 권성동 원내대표에 이어 김상훈 정책위의장, 임이자·최형두·최보윤 비대위원까지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사실상 지도부 공백 상황이 발생했는데, 김 위원장이 물러나지 않으면서다.
당 일각에선 “친윤(친윤석열)계의 노림수”라는 비판이 나왔다. 국민의힘 당헌·당규를 보면 원내대표가 궐위된 때에는 7일 이내에 의원총회를 열어 원내대표를 선출해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선출 시기를 달리할 수 있다고 돼 있다. 권 원내대표의 경우 사표가 수리된 것이 아니라 차기 원내대표를 선출할 때까지는 직이 유지돼 김 위원장이 사퇴하면 ‘부득이한 사유’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더라도 김 위원장이 30일까지 비대위원장을 유지하면 “차기 전당대회에서 친윤계가 불리할 수 있다”라는 위기감이 깔렸다는 분석이 있다. 김 위원장은 대선 기간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절연, 당정 관계 정상화 등을 주장하며 당 쇄신에 나선 바 있다. 또 지난달 10일 새벽 비대위 회의에서 유일하게 지도부 주도의 대선 후보 교체에 반대 의견을 냈던 인물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차기 전당대회 경선룰을 역선택 방지를 제외한 국민 100% 투표 등 고강도 개혁안을 내놓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친윤계는 구심점이 없는 데다 김문수 전 대선후보, 한동훈 전 대표 등 친윤계와 거리가 먼 인사들이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돼 당권을 뺏길 공산이 크다는 말이 나온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원내대표가 누가 선출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김 위원장에게 차기 전당대회 권한을 주게 되면 (차기 당권은)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지 않나”라고 했다.
김 위원장의 거취는 9일 다시 의원총회를 열어 논의하기로 했다. 현재로썬 김 위원장이 ‘버틸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다. ‘쌍권’(권영세·권성동) 지도부 주도의 후보 교체 사건 등 잇따른 대표 친윤계 의원들의 실책 탓이지, 김 위원장에는 어느 정도의 동정론이 인다는 이유에서다. 김 위원장 본인도 전날(5일) “선거 과정에서 처절하게 반성하겠다고 말씀드린 부분이 중단 없이 이어져 가야 한다는 생각이 있고 당을 개혁해야 할 부분이 지금 굉장히 많다는 부분을 계속 말씀드리고 있다”며 윤 전 대통령 탄핵안 당론 반대 무효화 등 혁신안을 이행할 의사를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당 소장파 모임인 ‘첫목회’는 전날 밤 “우리 당은 원내 주도로 이뤄진 잘못된 결정으로 대통령 탄핵과 정권 상실이라는 결과를 맞이했다”며 친윤계를 저격하는 긴급 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지금까지 당론은 특정 지역 출신 중진 의원들에 의해 결정됐고, 이러한 결정들로 인해 피해를 보는 당원들의 의견은 철저히 무시됐다”며 “당 개혁 및 지도체제 개편 등 모든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전국 당협위원장 합동 회의의 즉각적인 개최를 요구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