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몽골 기상청이 황사를 공동 감시하고 이상기후에 대비한 기상 관측·기후 예측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기상청은 20일 서울 동작구 서울청사에서 몽골기상청과 제11차 기상협력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뜻을 모았다. 양 기관은 2003년부터 2~3년마다 협력회의를 개최해 왔다.
이번 회의에서는 황사 공동 감시 및 모델링 기술, 수치예보 시스템, 기후 예측, 기상 조절 등을 논의했다.
또한 기상청은 몽골 기상청 요청으로 호우 긴급재난문자 발송 체계, 기상 분야 인공지능(AI/ML) 기술, 한국형 수치예보모델(KIM) 운영 현황을 소개하고 추가 협력하기로 했다.
AI 추천 뉴스
기상청은 2017~2019년 1차 국제개발협력(ODA) 사업을 통해 몽골 울란바토르와 주변 지역에 32개소의 자동기상관측소(AWS)를 구축했다. 2022~2025년엔 2차 ODA 사업으로 자동기상관측소(AWS) 20개소를 추가 설치했다.
바툴가 에르헴바야르 몽골 기상청장은 “양 기관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는 상호 호혜적이고, 몽골 기상청의 기상관측 현대화 등 기상기술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면서 “두 기관 간 협력이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봄철 황사현상 감시 등을 위해서는 몽골 기상청과의 협력이 중요한데 계속해서 몽골 기상청과의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해 나가겠다”며 “또한 기상 선진국으로서 다양한 국가에 기술을 공유하고 역량 향상을 지원하는 등 국제적 기상 협력을 강화해 나감으로써 국가 간 재해기상 조기경보 역량 격차 해소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