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는 '제2차 국제금융기구 신탁기금사업 관계부처 협의회'를 열고 국제금융기구와의 부처별 협력 현황과 기업들의 국제금융기구 신탁기금 사업 참여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19일 밝혔다.
문지성 기재부 개발금융국장은 "국제 분쟁 이후 재건 수요, 기후변화 지원 등 증가하는 개발수요에 대응해 국제금융기구 조달시장도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며 "우리나라가 강점 있는 분야의 우수한 공공기관, 민간 기업들이 신탁기금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특히 국제금융기구 신탁기금 사업들이 국제금융기구 차관사업의 타당성 조사 등 대형 인프라 사업의 초기 단계인 경우가 많은 만큼 신탁기금 참여 확대가 우리 기업의 후속 인프라 사업 수주로도 연결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기재부는 정부가 출연 중인 국제금융기구 신탁기금별로 기금의 주요 지원 분야, 최근 승인사업 및 후보사업안 등을 상세히 공유했다. 관계 부처에서도 디지털 행정, 상·하수도 물 관리 등 우리 기관, 기업들이 해외 경쟁력 있는 세부 분야 등을 설명하며 신탁기금의 효과적 운용방향을 제안했다.
최근 국제금융기구 신탁기금 사업을 수주한 공공기관도 참석해 구체적인 수주 절차와 경험, 국제금융기구와의 협력 확대를 위한 시사점 등을 발표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올해부터 국제금융기구 조달 관련 민간 전문가 육성을 위해 교육과정을 신설하고 국제금융기구 진출 전략부터 세부적인 입찰서류 작성방법까지 교육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I 추천 뉴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제금융기구 신탁기금 사업에 우리 기업들의 참여가 확대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 기관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국제금융기구 조달 전문가 육성 등 관련 환경 조성을 위해서도 노력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