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총리, ‘보복관세 슬그머니 철회’ 논란 속 미국 부통령 만나

입력 2025-05-19 11: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탈리아 로마서 “관세 분쟁 해결 일환으로 만나”
“무역 압력과 경제‧안보 관계 구축 필요성 대화”
캐나다 야당, 총리 내각 향해 ‘보복 철회’ 공세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로이터연합뉴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로이터연합뉴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18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에서 J.D.밴스 미국 부통령을 만나 양국 무역 상황에 대해 논의했다. 레오 14세 교황의 즉위 미사 참석을 계기로 마련된 자리로 보인다.

이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밴스 부통령실은 성명을 통해 “밴스 부통령과 카니 총리가 관세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18일 로마에서 공정한 무역 거래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카니 총리 대변인실도 성명을 통해 “두 지도자가 국경 보안 강화, 펜타닐(합성마약) 단속, 국방‧안보 투자 증대, 상호 협력 증진 영역 모색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무역 압력과 새로운 경제 및 안보 관계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며 지속적으로 소통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또 “이달 초 백악관에서 있었던 정상회담을 기반으로 카니 총리는 밴스 부통령에게 캐나다와 미국이 함께 협력할 때 더 강해진다는 점을 강조했다”고도 덧붙였다. 카니 총리는 6일 미국을 찾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처음으로 정상회담을 한 바 있다.

한편 캐나다에서는 최근 카니 내각이 미국에 부과한 보복 관세를 일부 조용히 일시 유예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카니 내각은 지난달 제조‧가공‧식음료 포장에 사용되는 수입품과 공공보건·의료·공공안전·국가안보에 필요한 품목 등에 대한 관세를 6개월간 유예했다. 자동차 제조업체는 캐나다 생산‧투자 유지를 조건으로 일부 자동차를 관세 없이 수입할 수 있게 했다.

해당 조치들은 7일 캐나다 관보 게재로 알려졌는데 13일 캐나다의 대미 보복 관세율이 사실상 0%로 떨어졌다는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분석이 나오기 전까지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러나 카니 행정부는 일부 품목에 대한 일시적 유예라며 상당 부분의 보복 관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청년실업] 세계 청년들의 좌절…일자리가 없다
  • “GPU 5만 장 확보” 현실성 있나…이재명式 AI 인프라 공약 뜯어보니 [위기의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 '관세폭탄'에 美 재고 바닥⋯현대차ㆍ기아 차값 인상 불가피
  • 트럼프 “미국, 이스라엘-이란 분쟁 개입할 수도 있어”
  • 폭염에 폭우까지 오락가락…올여름 '장마 피해' 더 커질 수 있다고? [이슈크래커]
  • “메모리ㆍ기판 소비전력 낮춰라”⋯반도체 기업도 기술 개발 박차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上]
  • 美서 힘 빠진 태양광, 소재ㆍ재활용 신사업 확장
  • ‘예스24’ 사태가 불러온 ‘디지털 소유권 환상론’…타 업계로도 번져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556,000
    • +1.14%
    • 이더리움
    • 3,618,000
    • +3.43%
    • 비트코인 캐시
    • 626,000
    • +2.71%
    • 리플
    • 3,039
    • +1.3%
    • 솔라나
    • 216,200
    • +7.4%
    • 에이다
    • 890
    • +2.42%
    • 트론
    • 375
    • -0.79%
    • 스텔라루멘
    • 361
    • +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260
    • +0.75%
    • 체인링크
    • 18,930
    • +4.18%
    • 샌드박스
    • 374
    • +2.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