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콩 의무자조금 설치 추진, 수급안정 기대⋯향후 밭콩까지 확대

입력 2025-05-19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논콩 재배면적 7년 만에 4.1배 확대, 재배 농가 수 2만여 명

▲전라북도 김제시의 논콩 전경. (사진제공=농촌진흥청)
▲전라북도 김제시의 논콩 전경. (사진제공=농촌진흥청)
논콩 의무자조금 설치가 추진된다. 의무자조금이 설치되면 콩 수급안정 등이 기대된다. 정부는 논콩부터 우선 시작해 향후 밭콩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콩 산업 발전을 위해 논콩 의무자조금 설치 논의를 위한 킥오프 회의를 20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11월에 출범한 논콩임의자조금의 의무자조금 전환을 위해 콩 생산자단체인 한국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 국산콩생산자연합회, 농협중앙회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지자체 등이 참석해 그간의 자조금 추진 경과와 운영 방안, 의무자조금 설치준비위원회 구성 등에 관해 토론한다.

논콩자조금은 콩 관련 농산업자가 납부한 자금으로 조성되며, 농산업자 및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콩 산업 및 국가경제의 안정적 발전과 콩 생산자의 소득안정망을 구축 등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농산업자는 농업인과 농업경영체, 생산자단체 및 자조금의 효율적인 조성‧운용 및 거출금의 공정한 분담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돼 농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자를 말한다.

논콩 의무자조금 도입 시 콩 관련 농산업가 자조적으로 조성한 재원을 활용해 콩의 경쟁력 제고, 수급안정, 소비촉진‧홍보 및 조사‧연구사업 등을 추진해 농산업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정부가 쌀값 안정과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해 전략작물직불제 등 논타물재배 지원사업을 추진하면서 논콩 재배면적이 급증하고 있다. 2016년 4422헥타르(ha)였던 논콩 재배면적은 2023년 1만8314ha로 4.1배 확대됐다. 재배 농가 수도 2만여 명에 달한다.

장수용 한국논콩자조회 회장은 “콩의 소비 촉진과 품질 향상, 자율적인 수급 조절을 목표로 콩 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앞장서겠다.”며 “향후 자조금 범위를 논콩에서 밭콩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이번 회의를 통해 각 구성원 간 협의를 바탕으로 의무자조금 전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생산자의 자율적인 수급관리, 시장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논콩 재배 농업인들을 비롯한 농협과 생산자단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장중 3000선 돌파…3년 6개월만
  • '아이돌의 아이돌' 빅뱅, 어떤 차 몰까…개성 넘치는 이들의 콜렉션 [셀럽의카]
  • 제2차 세계대전에 등장했던 ‘강철비’…이란이 쏜 집속탄이란?
  • ‘내란 특검보’ 김형수·박억수·박지영·박태호·이윤제·장우성
  • "농어를 고아 먹으면 굽은 등도 펴진다?" [레저로그인]
  • [날씨] 전국 장마 시작…강풍 동반해 시간당 최대 50㎜ 쏟아져
  • 티몬, 오늘 운명의 날…오아시스 품에 안기나
  • ‘서울대 10개 만들기’ 입시 병목 해법 되나…“재정마련 시급”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⑩·끝]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203,000
    • +0.45%
    • 이더리움
    • 3,521,000
    • +0.17%
    • 비트코인 캐시
    • 674,000
    • +4.74%
    • 리플
    • 2,991
    • -0.13%
    • 솔라나
    • 204,200
    • +0.89%
    • 에이다
    • 828
    • -0.6%
    • 트론
    • 379
    • -0.26%
    • 스텔라루멘
    • 345
    • -1.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120
    • +3.33%
    • 체인링크
    • 18,070
    • -2.32%
    • 샌드박스
    • 355
    • +1.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