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 둔화 우려도 부담
불확실성에 공격적 전략 펼칠 수 없어
미·중 관세협상 최종 타결 가능성도 변수

최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QUICK·팩트셋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주요 6개국 상장 기업 4500개사(금융 제외)의 시가총액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총 시가총액은 지난달 3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한때 1619억 달러(약 227조 원) 증발했다가 90일 관세 일시 정지 발표에 원래 수준으로 회복했다. 동남아시아 시장에 정통한 태국 주재 금융회사 임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약 10일간의 시장에 대해 “그야말로 롤러코스터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주가가 혼란스러웠다”고 회상했다.
동남아시아 시가총액 1위 소매 대기업인 씨(SEA)는 관세 발표 이후 8일 한때 166억 달러를 잃었다. 이 회사가 운영하는 쇼피는 역내 최대 규모의 인터넷 쇼핑몰 서비스다. 미국과 직접적인 무역 관계나 미국 내 사업전개는 없지만 관세로 인한 소비자 심리 악화가 우려됐다. 사업 확장의 전제가 되었던 동남아시아 경제 성장 둔화 우려로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 다만 최근에는 주가가 회복해 9일 기준 연초 대비 50% 이상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역내에서 존재감이 있는 에너지 및 자원 관련 기업의 주가도 급락을 피하지 못했다. 시가총액 2위인 인도네시아 재생에너지 대기업 바리토리뉴어블 에너지는 한때 시총이 107억 달러 증발했다. 인도네시아 대기업 바리토퍼시픽 계열의 이 회사는 자바섬 등에서 지열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3년 상장 후 주가가 급등했던 반동도 있어 자금이 급격히 빠져나갔다. 하지만 상호 관세 부과 유예가 발표되자 주가는 상승, 상호 관세 발표 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 회사의 주가는 지난달 9일 종가 기준 4250루피아까지 떨어졌다가 16일 6675루피아까지 회복됐다.
회복세가 더딘 업종도 있다. 태국만에서 천연가스전을 운영하는 국영 태국석유공사 계열 자원개발회사 ‘PTT 익스플로레이션 앤 프로덕션(PTTEP)의 주가는 9일 기준 연초 대비 18.47% 하락했다. 이 회사의 주가는 4월 초만 해도 121.00바트에 거래됐는데 지난달 8일에는 종가 기준 96.25바트까지 급락했다. 16일 종가는 99바트로 연초 대비 16%가량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관련 뉴스
가장 큰 문제는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불확실성이다. 이는 동남아 기업 전략에도 영향을 미쳤다. 건설용 철강재 등 제조 판매를 담당하는 베트남 최대 철강업체 호아팟은 지난달 8일 배당 계획 변경을 발표했다. 기존에는 배당금 일부를 현금으로 지급할 계획이었지만 모든 배당을 주식 배당으로 전환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불확실성 증가에 따른 운전자금 확보가 이유라고 한다. 한국 가전업체 쿠쿠전자의 말레이시아 자회사도 상장을 연기했다. 대만 의류수탁 대기업 루홍(에클랫 텍스타일)은 인도네시아에 신설할 공장 건설을 연기했다.
향후 대미 협상으로 미국산 제품 수입이 확대되면 현지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미·중 무역 마찰을 배경으로 제품 수출 거점으로 각국에서 자금이 유입돼 어부지리를 누려온 동남아시아 모델이 갈림길에 서 있다고 닛케이는 짚었다.
미국과 중국이 관세를 일시적으로 대폭 낮추기로 합의한 것도 동남아 기업들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동남아 기업들이 누리던 가격 경쟁력이 약화할 수밖에 없다. 장기적으로는 미·중 무역협상 최종 타결 가능성에 다국적 기업들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자 동남아로 생산기지를 이전하거나 다변화하는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