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EBRD, '지식공유 협력 MOU' 첫 개정

입력 2025-05-18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문지성 기재부 국장, EBRD 연차총회 계기 부총재 면담
26~30년 전략·자본 프레임워크·25~27 전략계획 채택
EBRD 총재 "우크라 지원, EBRD 핵심 우선순위 유지"

▲기획재정부. 조현호 기자 hyunho@
▲기획재정부. 조현호 기자 hyunho@

한국과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이 EBRD 수원국가 대상 지식공유 지원을 위한 양측의 '지식공유 협력 양해각서'를 9년 만에 처음으로 개정했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4~15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34차 EBRD 연차총회를 계기로 정부 대표인 문지성 기재부 개발금융국장은 마크 보우만 EBRD 정책·파트너십 부총재를 만나 이러한 내용의 '한-EBRD 지식공유 협력 MOU' 개정에 서명했다.

해당 사업은 한국의 정책 경험을 EBRD 지원국에 전수하는 내용으로, 2016년 7월 관련 MOU 체결 이후 첫 개정이다. 개정안에는 첨단기술 분야 등 다양한 신규 협력 수요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문 국장은 보우만 부총재에게 한국 측 신탁기금 성과평가 체계를 설명하고 EBRD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한나 미들리-로버츠 EBRD 인사국장에게는 "한국 국적의 고위직 및 한국인 채용 확대가 필요하다"며 올해 하반기 개최 예정인 국제기구 채용설명회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한편 '외연을 넓히고 강점을 지속하다'(Expanding Horizons, Enduring Strengths)라는 주제로 열린 EBRD 연차총회에선 2026~2030년 5개년 동안의 주요 정책 방향인 '전략 및 자본프레임워크'와 세부 이행 계획인 '2025~2027년 전략이행계획'이 채택됐다.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지역 국가인 베냉, 코트디부아르, 나이지리아 등까지 지원 외연을 넓히는 데도 합의했다.

각 회원국 대표는 새로운 전략 및 자본프레임워크, 우크라이나 지원·재건, EBRD 지원지역 확장 등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오딜 르노-바소 EBRD 총재는 "이번에 발표된 프레임워크는 2023년 자본 증자 시 회원국과 논의한 내용을 반영한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EBRD 핵심 우선순위로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국장은 새 프레임워크 이행을 위한 △기후 중심 경제체제 전환을 위한 민자 적극 유치·디지털 기술 적극 활용 △국가 경제 투명성·효율성 제고를 위한 선진국 제도 적극 도입 △은행 투자·프로젝트 목표 달성 정도를 측정하는 평가체계 중요성 및 지원국 역량 강화 등을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460,000
    • +1.03%
    • 이더리움
    • 3,995,000
    • -0.52%
    • 비트코인 캐시
    • 693,000
    • -3.62%
    • 리플
    • 3,716
    • -1.69%
    • 솔라나
    • 217,800
    • -1.18%
    • 에이다
    • 958
    • -3.43%
    • 트론
    • 408
    • +0.25%
    • 스텔라루멘
    • 527
    • +4.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270
    • -1.92%
    • 체인링크
    • 20,410
    • -3.32%
    • 샌드박스
    • 388
    • -2.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