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 SK시그넷이 최근 제기된 매각설을 공식 부인했다.
16일 SK시그넷은 “최대 주주인 SK주식회사에 확인 결과, 매각은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전날 SK그룹이 일부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을 진행 중인 점을 근거로 SK시그넷이 매각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SK시그넷이 이를 일축한 것이다.
SK시그넷 측은 “지난 3월 SK(주)에서 1150억 원 규모의 추가적인 증자를 통해 자본 구조를 개선하고, 현재는 경영 효율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그룹 차원의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은 일부 진행 중이나, SK시그넷은 매각 대상이 아니며 경영효율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 뉴스
SK시그넷은 2021년 SK(주)에 편입된 후 전략적 투자 유치를 지속해 왔으며, 올해 초에도 경영정상화 및 사업 성장을 위한 SK(주)의 추가 투자가 이뤄졌다. 이에 따라 SK㈜의 지분율은 기존 55.52%에서 62.91%로 확대됐다.
SK시그넷은 글로벌 전기차 충전 시장에서의 기술 리더십과 혁신적인 경영을 한층 더 강화하고자 올해 초 경영진을 교체했다. 김종우 신임 대표는 반도체 및 첨단 소재 분야에서 쌓은 풍부한 경험으로 기술 기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갖춘 인물이며, 글로벌 사업 확장에 강점을 지닌 경영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SK(주)는 김 대표의 역량을 바탕으로 SK시그넷의 시장 경쟁력 제고, 기술 리더십 확대, 혁신 경영을 통한 글로벌 사업 확장을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경영진 교체 이후 SK시그넷은 기업 내재가치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전략을 추진 중이다. SK시그넷 관계자는 “글로벌 EV 시장의 둔화 등 어려운 대외 여건 속에서도, 올해는 추가 투자를 통한 재무 건전성 확보를 바탕으로, 사업경쟁력 강화 및 하반기 내 Turn Around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SK시그넷 관계자에 따르면 신제품인 V2 라인업 충전기 전체 평균 가동률은 2025년 1분기 기준 99.6%를 기록하며, 이는 미국 연방정부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정책인 NEVI(National Electric Vehicle Infrastructure) 프로그램이 제시한 기준인 97%를 상회하는 수치라고 전했다. SK시그넷 관계자는 “품질 개선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제품을 개발해 온 결과, 높은 가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SK시그넷은 앞으로 NEVI 보조금 집행 지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CEC, California Energy Commission)를 비롯한 주 정부 및 지방정부 주도의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동시에, 주요 고객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설치 거점을 다변화하고, 민간 수요 기반 설치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SK시그넷은 2024년 글로벌 1위 주유기 제조사 길바코(Gilbarco)와 독점 공급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미국, 유럽 등 32개 주요 시장에 초급속 충전기 공급을 본격화하고 있다. 2025년 하반기부터는 길바코가 협업 중인 미국 편의점 체인 퀵트립(Kwik Trip)과 쉬츠(Sheetz)의 유통망을 통해 북미 시장 내 실질적인 매출 실현이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유럽과 멕시코 등 신규 해외 시장 진출 사업 영역을 확대하며, 특정 국가 의존도를 낮추고 중장기 관점에서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계획이다.
국내 시장에서도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2024년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전기차충전소 구축사업에서 1단위 사업자로 선정되어 올해 상반기 내 전국 42개 고속도로 휴게소에 191기 이상의 초급속·급속 충전기를 설치 완료할 예정이다. 국내 최초 테슬라 충전 표준 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 커넥터를 지원해 별도 어댑터 없이 테슬라를 비롯한 다양한 차량의 충전 편의성을 높이며, 국내 테슬라 운전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또한, SK시그넷은 2024년 6월, 환경공단이 주관한 ‘2024년 전기자동차 공공 급속충전기 제작 및 설치 사업’ 입찰에서 총 100억 원 규모의 수주를 확보했다. 본 사업에서 SK시그넷은 1권역(200kW급) 105기, 2권역(100kW급) 135기 등 총 240기의 급속충전기를 납품 및 설치하는 과업을 차질 없이 완료하며 기술력과 사업 수행 역량을 입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