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자율주행차 반도체, 성남이 이끈다…총 451억 원 투입해 글로벌 진출 지원

입력 2025-05-14 14: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도비 337억 확보...성남 제2판교에 팹리스 기업 위한 첨단장비 집약

▲성남시 시스템반도체 개발지원센터 내 구비된 주요 첨단 검증 장비들. (성남시 )
▲성남시 시스템반도체 개발지원센터 내 구비된 주요 첨단 검증 장비들. (성남시 )
성남시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관한 '2025년도 팹리스기업 첨단장비 공동이용지원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14일 성남시에 따르면 이번 선정으로 국도비 337억원을 포함한 총 451억 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할 것 계획이다.

'AI'와 '자율주행차' 등 시스템반도체 산업의 성장 속에서, 고성능 반도체 수요 증가와 첨단공정 기술의 복잡성, 설계·제조비용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 팹리스 기업을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시제품 제작 전 단계의 설계 검증부터 제작 후 성능 평가까지 가능한 첨단 장비와 체계를 구축해, 국내 팹리스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번 공모에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 주관기관을 맡고,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성남산업진흥원이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했다. 성남시와 경기도는 사업 운영을 총괄 지원하며, 첨단 기술과 인력을 갖춘 연구기관과 협력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의 주요 내용은 △고성능 AI 반도체 설계 검증을 위한 컴퓨팅 환경 구축△초고속 인터페이스 IP 성능검증 장비 구축 △전문인력 양성과 상용화 지원체계 구축 등이다. 이를 통해 반도체 칩 설계 단계에서의 오류를 줄이는 에뮬레이터와 웨이퍼 수준의 성능 평가, 고속 인터페이스 신호 분석을 위한 첨단 장비를 마련한다.

사업 추진으로 중소·중견 팹리스 기업은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성남 소재 기업에는 장비 이용료를 약 30% 할인하는 혜택도 제공할 예정이다.

장비 구축 장소는 제2판교 성남글로벌융합센터 지하 1층으로, 지난해 9월 같은 건물 1층에 개소한 '시스템반도체 개발지원센터'와 연계해 활용도를 높이고, 시스템반도체 산업의 성장에 시너지 효과를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상진 시장은 "성남시가 팹리스 첨단장비 공동이용지원 사업의 최적지로 인정받은 것은 글로벌 AI 산업 경쟁 속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이는 정부 반도체 메가클러스터의 두뇌 역할과 4차 산업 특별도시로의 도약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이란과 전쟁 돌입…핵시설 3곳 폭격
  • '서울가요대상' 아이들 대상⋯투바투ㆍ영탁 3관왕
  • 2만여명 홀린 韓 기업들…'바이오 심장' 뒤흔들었다
  • '미사일 보복' 나선 이란… "이스라엘 상공에 폭발음"
  • 범접 메가크루 반응 터졌는데…허니제이ㆍ아이키, 언행 논란으로 '찬물'
  • 'K-AI' 기대감에 '국민주' 네카오 불기둥 행렬
  • 미국이 띄운 'B-2 폭격기' 뭐길래?…"벙커버스터 탑재 가능"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908,000
    • -3.08%
    • 이더리움
    • 3,057,000
    • -8.5%
    • 비트코인 캐시
    • 623,000
    • -5.96%
    • 리플
    • 2,758
    • -5.16%
    • 솔라나
    • 181,100
    • -5.97%
    • 에이다
    • 739
    • -6.46%
    • 트론
    • 366
    • -4.69%
    • 스텔라루멘
    • 313
    • -6.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450
    • -3.76%
    • 체인링크
    • 15,850
    • -7.04%
    • 샌드박스
    • 319
    • -5.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