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후폭풍에 '빚투'까지…4월 가계대출 5.3조 원 증가

입력 2025-05-14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위, '4월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 발표
주담대 4조8000억 원 늘어…7개월만 최대 폭

▲금융위원회가 가계대출 동향을 발표한 9일, 서울의 금융위원회 사무실 복도를 한 직원이 지나가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가계대출 동향을 발표한 9일, 서울의 금융위원회 사무실 복도를 한 직원이 지나가고 있다.

지난달 가계대출이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올해 2~3월 서울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 해제로 주택 수요가 급증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여기에 증시 변동성 확대로 신용대출 수요까지 살아나면서 전체 가계대출을 밀어올렸다.

14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4월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은 5조3000억 원 증가했다. 전월 7000억 원과 비교해 7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주담대가 4조8000억 원 늘어 전월(3조7000억 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은행권의 증가폭(2조5000억→3조7000억 원)이 컸다. 반면 제2금융권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다소 축소(1조2000억→1조1000억 원)됐다.

기타대출은 5000억 원 증가해 전월(-3조 원)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는데, 이는 신용대출이 전월 대비 증가(-1조2000억→1조2000억 원)한데 따른 것이다.

▲금융위원회가 4월 가계대출 동향을 발표한 9일, 연령대별 자살률을 보여주는 표는 사회적·경제적 요인과 함께 변화하는 자살률을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게 한다.
▲금융위원회가 4월 가계대출 동향을 발표한 9일, 연령대별 자살률을 보여주는 표는 사회적·경제적 요인과 함께 변화하는 자살률을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게 한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이 4조8000억 원 늘어나며 전월(1조7000억 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세부적으로는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이 7000억 원에서 1조9000억 원으로 크게 확대됐으며 정책성대출도 증가폭도 소폭 확대(1조8000억→1조9000억 원)됐다. 기타대출은 신용대출 영향 등으로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하며 1조 원가량 늘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5000억 원 증가해, 전월(-9000억 원)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다. 저축은행(-2000억→4000억 원) 및 보험(-2000억→1000억 원)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돌아섰고 여전사(-9000억→-1000억 원)는 감소폭이 축소됐다. 다만 상호금융권 전월 4000억 원에서 지난달 2000억 원으로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는 모습을 보여줬다.

금융당국은 지난 2~3월 증가한 주택거래 관련 대출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면서 4월의 주담대 증가세 확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실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월 2만8000건 이었던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2월 5만1000건, 3월 6만7000건으로 늘었다. 수도권 주택매매거래량의 경우 △1월 1만8000건 △2월 2만4000건 △3월 3만6000건을 나타냈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연간 가계대출 관리목표 등을 감안시 현재까지는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라고 평가하면서도 "금리인하 대한 기대감, 5월 가정의 달 자금 수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영향 등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이어 "앞으로도 관계기관간 긴밀한 공조 아래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월별·분기별·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 강화, 금융회사의 선제적 자율관리 시행 유도 등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조치들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美 원전 르네상스에 ‘관세·밸류업 수혜’ 제친 원자력 ETF
  • 李대통령, 안보실 1차장에 김현종...네이버 출신 하정우 AI수석 임명
  • 상장주 5개 중 1개가 신고가…"정책株 내 순환매 가능성"
  • 단독 "지출 최대한 줄여라"…기재부, 추경 앞두고 전부처 '불용예산' 훑는다
  • 금감원·카카오, 불법 채권 추심 카톡 계정 이용 정지한다
  • 서울시 "외국인 부동산 거래 자금조달 내역 면밀히 검증"
  • [르포]"일회용품 없는 야구장 만들자"…빗속 한화구장서 울린 '그린스포츠'
  • 단독 한국교육개발원, 동료 집단 신고에 ‘직장 내 갑질’ 직원 해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329,000
    • +0.51%
    • 이더리움
    • 3,527,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632,500
    • +5.33%
    • 리플
    • 3,008
    • +0.1%
    • 솔라나
    • 210,400
    • +4.52%
    • 에이다
    • 878
    • +0.23%
    • 트론
    • 378
    • +1.07%
    • 스텔라루멘
    • 360
    • +0.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390
    • +0.09%
    • 체인링크
    • 18,390
    • +1.21%
    • 샌드박스
    • 368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